d라이브러리
"후일"(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설을 검증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다. 이들이 체계적으로 쌓아 올린 지식은 후일 또 등장하게 될 위대한 ‘발견’에 소리없이 지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과의 우화를 한 과학자가 스스로를 멋지게 포장한 사례 정도로 받아들일 때, 인류의 진보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적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어울려. 자신의 단점을 받아들이고 시작한 부분부터 80%는 한 거라고 생각해”. 재미있는 후일담을 하나 들려드리며 글을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실패에 직면하길 두려워하지 않는 학생들의 이야기입니다. 실패학회는 KAIST 실패연구소와 KAIST 학생동아리 ICISTS 학생들이 함께 준비한 행사입니다.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잘못하면 저 안에 있던 이들이 다시 세상의 흐름에 들어왔을 때는, 모두가 이미 사라진 후일 수 있다고. 에그가 앞으로도 크기를 부풀리지 않을 거라는 거시적인 예측이 나왔을 때부터, 그곳은 관광지가 되었다. 사람들은 바리케이드 앞에 서서 망원경으로, 일그러지고 뒤틀린 공간과 그 안에서 ...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대학교 3학년 독자위원은 유독 날카로운 리뷰를 보내서 기자들의 아픈 정곡을 찔렀다는 후일담이 남았지요. 독자위원회는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임기가 1년이었는데 후반기로 갈수록 참석률이 급격히 떨어졌죠. 다음해 모집한 2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2기를 끝으로 과학동아 최초의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게 엄청난 부담이었다. 당시 우주 관련 프로젝트를 담당하던 정윤 과학기술부 국장(후일 과학기술부 차관을 역임했고, 현재는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KSA) 교장이다)이 소신을 갖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끝끝내 설득시키지 않았더라면 KSR-Ⅲ를 시작할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유리천장을 확인하곤 1979년 엔지니어를 그만두고 여성 엔지니어 양성에 매진했다는 후일담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사회적 약자가 스스로의 두려움이나 나약함 때문에 유리천장을 부수지 못한 게 아니라는 사실 말입니다.온갖 차별 딛고 우주 개발에 공헌한 삼총사3월 23일 개봉 예정인 ‘히든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활동 중 하나는 수학독서활동이다. 수학자들이 자신의 이론과 연구, 그 역사적 배경과 후일담을 이야기하는 시리즈 책을 활용한다. 리만이 들려주는 적분, 오일러가 들려주는 최적화 이론, 네이피어가 들려주는 로그 등 88명의 수학자가 88가지 주제에 관해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 모든 것을 고려해 촬영하다보면 정작 제작진은 다 식은 음식만 먹게 된다는 슬픈 후일담도 들었다.3. 작은 소품이 명품 쿡방 만든다이날 상수동 촬영장에는 선반마다 각양각색의 그릇과 조리기구들이 놓여있었다. 모로코의 전통 조리기구라는 ‘타진’과 같은 물건은, 촌스러운 기자는 태어나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전세계가 위기에 빠졌지만 본인의 뛰어난 수학 실력 덕분에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며, 후일담을 늘어놓는다. 소설 속 주인공과 수학,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수학자가 사랑한 소녀, 앨리스눈부시게 화려한 붉은 여황이 호통을 치고, 조끼 주머니에서 회중시계를 꺼내 보는 이상한 토끼가 뛰어다닌 ...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되어 있었고 나는 순간적으로 그 팔이 내 것이라는 것도 잊고 “좋아!”를 연발했다. 후일담이지만 체체 파리에 물릴 때는 전혀 아픔, 아니 감각을 느낄 수 없었다. 개인적으로 평가한다면 모기보다는 체체파리가 흡혈의 전문가, 스페셜리스트라고 생각한다.생태다큐는 어떤 카메라로 찍을까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