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상"(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노벨생리의학상, ‘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매운 음식을 먹으면 왜 혀가 아프고 땀이 날까. 또 한밤중에 불빛 없이도 손을 뻗어 전등 스위치나 문고리를 찾을 수 있는 이유는 뭘까. 우리는 몸이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해 별다른 의문을 갖지 않았다.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이 당연함의 이면에 숨은 비밀을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충주 분지에서는 하상고도가 37~38m를 유지하며 평탄면을 이룬다. 여주-이천 분지에서는 하상고도가 11~15m를 유지한다.북한강은 자연 상태의 종단면을 확인하기 어렵다. 산지하천은 물이 높은 위치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력발전에 최적인데, 특히 북한강에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해 많은 댐이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2000만 명의 인구를 품고 있는 한강도 예외가 아니다. 수천 개에 달하는 댐, 보, 교량, 하상유지공 등의 하천 횡단 구조물은 퇴적 지형을 뒤바꿔 놓고 생태계를 단절시키고 있다. 급격한 기후변화 역시 한강의 변화를 재촉하고 있다. ● 인공물 │ 댐 건설이 강가에 풀과 나무를 늘리다강을 ...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중편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만들었습니다. 류츠신은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SF상인 ‘은하상’을 9번 받았으며, 2015년에는 국내에도 출간된 장편소설 ‘삼체’로 아시아인 최초로 ‘휴고상’을 받은 뛰어난 작가입니다.영화는 류츠신의 원작 소설에서 지구를 옮긴다는 설정을 가져왔습니다. 그 외의 ...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손끝에서 느껴지는 작고 볼록한 점 6개.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인 이 볼록한 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글자인 ‘점자’다. 그런데 왜 점으로 문자를 만들었을까? 또 점은 왜 6개일까?점자는 비장애인에게 낯선 글자지만, 엄연히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또 하나의 문자다.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보트를 개발했다. 원격 조정 보트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을 다니며 유속과 유량, 하상단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김 박사는 “하천 계측기술은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분야라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했다”며 “새로 개발한 장비를 이용해 홍수나 가뭄 피해를 막을 수 있고 ...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과학동아 l2007년 04호
- 강바닥은 야트막한 모래 둔덕 ‘사퇴’(砂堆)가 된다. 또 어느 순간 납작 엎드려 ‘평탄하상’(平坦河床)이 됐다가 큰 모래언덕인 ‘역사퇴’(逆砂堆)를 쌓기도 한다.홍수 다스리고 물고기 품어주고강마다 물 흐름뿐만 아니라 모래의 양과 질도 다르니 모래톱 모양도, 그곳에 둥지를 틀고 사는 ...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다음과 같다.첫째, 한강유역을 현재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단절하지 말고 유역과 하상 그리고 수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앞으로 개발지(경기도 지역)는 (그림)과 같은 형태로 정비하고 또한 유역에 자연초지 및 수림대를 보호 또는 조성하도록 한다. 이는 생물들의 서식지로서의 ... ...
- 이스라엘과학동아 l1993년 04호
- 계속되고 비가 오지 않는 메마른 땅이다. 따라서 식물이 자라지 않는다. 말라버린 와디(하상)가 종횡으로 패인 곳이 많고, 복잡한 습곡도 꽤 많다.광대한 네게브지역에 있는사막은 40℃ 이상의 뜨거운 날씨가 계속되기도 한다. 이 지역은 동쪽으로는 요르단 계곡, 서쪽으로는 시나이 사막과 맞닿아 ... ...
- 황금을 만드는 세균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사람이 간혹 있다. 자연금이 함유돼 있는 모암이 풍화작용으로 패쇄돼 금의 작은 입자가 하상이나 해변 중에 집중적으로 퇴적된 것이 사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금 중 일부는 산에서 캐낸 금광액보다 순도가 높은 것도 많이 있다.그런데 사금의 생성이 지질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물에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