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리함"(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콜록콜록! 성대 아파도 말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목감기에 걸려 하루 종일 친구와 대화를 못한 적 있나요? 감기에 걸리거나 성대를 다쳐도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어요. 3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준 첸 교수팀은 목 근육의 떨림을 감지해 목소리를 생성하는 스티커를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잘 늘어나는 실리콘 화합물에 구리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 세계의 길잡이, 디지털 영상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디지털 영상지도로 내 방에서 세계 여행! 올해 4학년이 된 지우는 이번 학기부터 새로운 학교에 다니게 되었어요. 새 동네와 학교는 마음에 쏙 들었지만, 아직 길이 익숙하지 않아 헤맬 때가 많답니다. 그런데 오늘 방과 후에 친구들이 공원에 모여 자전거를 타자고 초대했어요. 꼭 같이 놀고 싶은 ... ...
- 미래를 달리는 자동차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멋진 바퀴만 달면 최고의 자동차가 될 수 있을까요? 흠아예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미래에는 지금과 다르게 생긴 자동차들이 나타날지도 모르잖아요! 미래에는 하늘을 나는 택시, 브릭 장난감처럼 조립할 수 있는 자동차,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등 새로운 탈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바꾼다우리는 지난 200년간 화석연료를 사용해 어두운 밤의 불을 밝히고, 전자제품의 편리함을 누려 왔어요. 하지만 전기를 만들며 배출된 탄소는 지구의 온도를 점차 높였죠.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전 세계 곳곳에선 여러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기후 위기, 사람들의 일상 바꾼다 우리나라는 전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요구된다.무한 스크롤, 자동 재생, 변동적 보상, 휘발성 콘텐츠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새로운 경험, 재미 등을 선사한다. 사용자에게도 좋고 기업도 이윤을 창출하니 얼핏 모두가 행복한 상황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부작용을 간과해선 안 된다. 사용자가 알게 모르게 설계돼있는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편집자주. 오늘날 생성 인공지능(AI) 시장은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이끌어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스타트업들은 각자 새로운 생존 전략을 고민한다. 생성 AI 상용화라는 마라톤 경기에 피지컬 최강 선수(빅테크 기업)와 피지컬보단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입니다. 한국 국민 4명 중 1명은 반려동물과 함께한다는 소리입니다. 그러나 유기 방지를 위해 마련된 반려동물 등록제가 시행된 지 약 10년이 지났음에도 반려동물 등록률은 53.4%에 그칩니다(2021년 기준). 등록률을 높이기 위해 금융위원회는 최근 비문(코 전반에 분포된 ... ...
- 알쏠달쏭 연상퀴즈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것만 알면 100점! 수는 사물을 세거나 헤아린 양 또는 크기, 순서를 말해요.숫자는 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예요. 0, 1, 2, 3, 4, 5, 6, 7, 8, 9로 쓰지요. 수를 셀 때는 하나씩 세거나, 몇 개씩 뛰어 세거나, 몇 개씩 묶어 셀 수 있어요.특히, 10개씩 묶어 세는 방법이 가장 편리하지요.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기자가 학교에 갈 때에는 교과서, 문제집, 각종 유인물, 공책, 필기구까지 챙길 게 정말 많았어요. 그러나 요즘 학생들은 이 모든 것을 태블릿 PC 한 대로 대체하고 있어요. 태블릿 PC에 수업 자료를 PDF 문서로 내려받아 수업 내용을 필기하고, 수학 문제집과 공책을 화면에 절반씩 띄워 문제를 풀지 ... ...
- [노벨 화학상] 화려하게 빛나는 양자점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여러분 집의 TV는 무엇인가요? 만약 QLED TV라면,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이 만든 ‘양자점’ 덕분에 밝고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었을 거예요. 양자점은 TV처럼 빛을 내거나 태양전지처럼 빛을 흡수하는 장치에서 널리 쓰이는 아주 작은 입자예요. 양자점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