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턱
d라이브러리
"
큰턱
"(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장수하늘소와 달리 날개딱지에 크고 작은 흰색의 반점이 있답니다.영양사슴하늘소는
큰턱
과 넓은 몸집이 장수하늘소와 꼭 닮았어요. 하지만 이 종은 하늘소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곤충이에요. 하늘소들은 더듬이가 주로 일자형으로 막대 모양을 하고 있는 반면, 영양사슴하늘소는 더듬이 끝 부분이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송장벌레는 새끼가 알에서 깨어난 뒤에도 계속 양육해요. 새끼들은 배가 고프면 부모의
큰턱
을 두들겨요. 그러면 송장벌레 부모는 사체를 먹어 소화시킨 다음, 이걸 다시 토해내 새끼들에게 먹이지요. 이런 방식으로 새끼들에게 영양분뿐만 아니라 항균물질도 전달한답니다.송장벌레 수컷은 짝짓기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수컷의
큰턱
은 다른 수컷과 싸우거나 암컷에게 과시하기 위해 커졌다고 해요. 암컷도
큰턱
이 있지만 짧지요. 장수풍뎅이와 비슷하게 애벌레 때는 썩은 나무나 부식토 같은 곳에서 살고, 성충이 되면 나무액을 먹으며 산답니다. 전 세계에 10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열대 아시아에서 살고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모두 아름다운 빛깔을 자랑해요. 잘 발달한 겹눈과 튼튼한 다리, 씹어먹기에 알맞은
큰턱
과 입(구기) 덕분에 해충을 잡아먹어요. 사람에게 유익한 곤충이지요.그런데 고생대에는 잠자리가 훨씬 더 컸다고?우리는 3억 년 전 고생대에 살았던 잠자리의 조상, 메가네우라예요. 양쪽 날개를 펼쳤을 때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날린다. 여왕벌은 같은 암컷인 일벌의 산란관이 발달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큰턱
샘에서 ‘여왕벌 페로몬’을 낸다.재미있는 사실은 꿀벌이 공중에서 ‘춤’을 추는 방법으로 동료에게 메시지를 전한다는 점이다. 독일 생물학자 칼 폰프리시 박사는 일벌이 동료에게 꿀이 많은 꽃(밀원)의 위치를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향긋한 향이 나 사슴벌레뿐 아니라 다양한 곤충이 먹으려고 모여든다. 이때 사슴벌레는
큰턱
으로 다른 종들을 위협해 자기 영역을 지킨다. 편집자주 을파소에서 출간한 '생생 클로즈업! 동물체험관'에 실린 동물들을 매달 2종씩 소개한다. 모든 사진의 저작권은 이 책의 원서(Animals Up Close)를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보통 먹이를 잡기 위한 것이다. 입틀의 구조는 씹어 먹는데 알맞게 저작형이다. 튼튼한
큰턱
과 윗입술을 갖추고 있다. 왕잠자리에게 손가락을 물리면 대단히 아프고 때로는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가는 목은 머리를 회전시킬 수 있고, 가슴에는 3쌍의 다리가 있다. 잠자리는 공중생활을 주로 하기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