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공
d라이브러리
"
진공도
"(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진공청소기는 내부 기압을 대기압보다 약 20%까지 작게 줄여요. 더 완벽에 가까운
진공도
만들 수 있어요. 화학과 물리학 등의 연구 분야에서 쓰이는 성능이 좋은 진공 실험실은 대기압보다 1조 배 작은 기압을 만들 수 있어요. 이때 공기 입자는 가로, 세로, 높이가 1cm인 부피에 고작 100개 정도만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80%까지 제거하면 재료 속 수분은 60도에서 끓습니다. 파우치 속 공기를 90%까지 제거해
진공도
를 더욱 높이면 재료 속 수분은 40도에서 끓게 됩니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음식을 익힐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진공 덕분입니다. 현재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진공 포장기 내부의 공기압력은 대개 5~10토르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여러 줄무늬를 보려면 반드시 진공을 만들고 실험을 해야 한다.
진공도
가 나빠져서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한번만 부딪혀도 여러 줄무늬는 두 개의 줄로 바뀐다.여기서 우리는 아주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불렀을 정도다. 잠깐 공부를 하면 꼭 그만큼 공상을 하곤 했다. 우주 공간은 무엇일까,
진공도
에너지가 있을까. 나는 앞으로 이런 것들을 알게 될까. 그렇게 되려면 내 일, 그리고 내년엔 무엇을 해야 할까. 공상의 날개짓은 흥미진진하고 한이 없다.‘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속담이 있다. ‘백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어느 조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달리는지 관찰했다. 터널 속
진공도
가 10% 올라갈 때마다 열차의 속도는 시속 15km씩 올라갔다. 그 결과 모형열차가 달리기 가장 좋은 조건은 0.21기압이었다. 이때 시속 514km로 달리는 모형열차는 진공터널에서 시속 684km로 달렸다. 김동현 박사는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려면 지표면 대기압의 약 300억 분의 1에 해당하는 3.0×10-8mbar
진공도
를 유지해야 한다. 연구진은 우리별 1호가 떠 있는 1300km 상공 우주 공간과 맞먹는 진공을 무리 없이 만들었다.첫 단계는 무사히 통과했지만, 진짜 고비는 2단계 극저온냉각 시운전 부터였다. 초전도자석은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어떤 분야에 적용되는가에 따라 필요한
진공도
가 다르기 때문에 진공펌프가 갖춰야 할 조건도 훨씬 다양해졌다. 새로운 진공장비가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는 이유다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IT(정보기술) 분야의 신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분자나 원자 각각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진공도
의 좋고 나쁨도 중요하지만 진공 환경의 청정도도 중요하다는 말이다.이런 기술은 불순물이 없는 극청정 환경에서라야 실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극청정 진공환경을 만들어내야 함은 물론, 진공상태를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이뤄진다. 이는 물론 다른 불순물이 빛과 반응하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이 정도
진공도
에서는 고체 원자가 쉽게 기체화된다.이는 BEC를 통해 온도를 낮춤으로써 기체 원자를 밀집시키는 방법과 반대다. 온도를 높임으로써 고체 원자가 더 많이 기체화되면 높은 밀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현재의 반도체 기술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나노소자의 경우는 더욱 높은 수준의
진공도
가 요구된다. 기체분자 자체가 나노미터 크기이기 때문에 진공 시스템에 잔류하는 기체 분자 한개 한개가 불순물로 작용한다. 나노소자 개발을 위해서는 극고진공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인 것이다커피,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