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도서
d라이브러리
"
지도책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내비게이션과 같은 장치가 없었어요. 이 때문에 시골의 할머니 집에 가기 위해 전국도로
지도책
을 펴고 도로를 미리 공부해 놓았지요. 지금은 어디를 가더라도 따로 도로를 공부하지 않아도, 내비게이션의 안내대로면 큰 문제 없이 안전하게 갈 수 있어요. 엄청난 발전이지 않나요? 내비게이션은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거뒀을 뿐 아니라 지구의, 과학·수학 기구를 만드는 장인이기도 했다. 여러 지도를 모은
지도책
을 ‘아틀라스(Atlas)’라고 처음 부른 사람도 메르카토르였다. 캘리그래피(서체)에 대해 책을 쓰기도 했고, 수학이나 천문학 같은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깊었다.여전히 지도하면 메르카토르의 지도가 ... ...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뚫고 나갈 거야. 낯선 도시의 하늘 을 허리케인처럼 빠르게 날아오르겠지. 광활한 세계가
지도책
이 되어 내 눈 아래로 펼쳐질 거야.”쥘 베른의‘기구를 타고 5주간’중에서지구는 푸른빛이다!세계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이 우주선 보스토크1호를 타고 우주공간으로 나갔을 때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한 것이다. 지구 어디에나 좌표만 불러주면 그 위치를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좌표를
지도책
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를 보니 동경 124°에서 132°, 북위 34°에서 북위 43° 사이에 있다.밤하늘에 있는 별들의 위치를 기록해 놓은 지도를 성도(星圖)라 한다. 성도에는 수많은 별들이 그려져 ... ...
지도,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여행할 때 사용하는 도로지도와 다르다.지구의 실제 모양을 축소한 지구의(地球儀)는
지도책
이나 한 장의 지도보다 우리에게 훨씬 더 실감을 준다. 이것은 지구의가 지도가 갖추어야 할 방향(방위) 거리 크기 모양의 4가지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구의는 전세계를 한눈에 볼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찾기 위해서 그 지역의 지도를 펼쳐놓고 작은 활자를 샅샅이 뒤져야 한다. 그러나 CD롬
지도책
은 그 지명을 선택만 하면 그 지명이 수록된 지도가 화면에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그 지명에 속한 관광지나 역사적인 유물, 그리고 인구 특산물 등 지리적인 특성까지 한꺼번에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크게 한질로 만든
지도책
이다.책의 첫머리에 지도유설(地圖類說)이 있다. 간결하지만 이
지도책
의 편찬목적과 지도작성의 원리를 서술한 중요한 부분이다. 여기서 김정호는 그와 지리와 지도에 대한 이론을 지리학 고문헌(古文獻)을 인용하면서 차근차근 전개해 나갔다. 그는 먼저 중국의 지도와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도가 존재했을 가능성도 전적으로 배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천하도는 그 독특한
지도책
과 더불어 한국 고유의 것이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세계지도다. 재래의 천하도에 서구에서 도입된 지식을 적용 또는 첨가해 가는 과정을 통해 볼 때 천하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 ... ...
늘씬한 3W의 나라 칠레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스페인문명이 혼재돼 있는 「장대나라」는 날씨가 좋고 술맛이 기막히며 여자가 예쁘다.
지도책
을 펴 들고 남아메리카 대륙을 살펴보면 유난히 좁고도 긴 나라가 눈에 띈다. 세계에서 가장 긴 나라, 바로 칠레(Chile)라는 나라이다. 최북단의 아리카(Arica)시에서 최남단의 푸에르토 윌리암스(Puerto Williams ...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이제까지 우리가 얼마나 잘못된 지리지식을 갖고 있나를 쉽게 알 수 있다.물론
지도책
에 따라 로빈슨도 법과 비슷하게 그린 지도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은 그리기 쉬운 평면도법을 그대로 쓰던지 약간의 수정만 했을 따름이다.따라서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북쪽 지방이나 남극주변 지방에 대해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