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묘"(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장춘은 일본과 한국에서 여러 실용적 연구 성과를 남겼다. 일본에선 교토의 세계적인 종묘 회사인 타키이에서 배추, 양배추 등 십자화과 작물의 종자 생산을 연구했다. 한국에 와서는 한국인에게 중요한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의 종자 개량에 주력해, 광복 이후 공급이 어려웠던 우량종자를 ... ...
- [헷갈린 과학] 가격도 달라, 맛도 달라! 청포도VS샤인머스캣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노란빛이 나는 것을 선택하세요. 샤인머스캣이 쏘아올린 종자전쟁?! 올해 초 일본은 종묘법에 ‘새 작물의 종자를 일본에서만 재배한다’는 내용을 추가했어요. 샤인머스캣이 발단이 됐죠. 일본은 샤인머스캣을 개발한 뒤, 우리나라에 따로 품종등록을 하지 않았어요. 그 사이 우리나라는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명했다. 해외에서 개량된 이들 90품종을 구매할 경우 특허료를 받는 것은 해외 종묘사다. 임 연구관은 “구상나무는 수형이 아름답고 독특한 향이 나는 등 생물자원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종”이라며 “이런 우리의 소중한 생물자원을 잘 보전하면서 자원으로 잘 활용할 방법을 함께 모색하고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직접 복원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미국 마이애미대 연구진은 건강한 산호를 양식하는 종묘장을 구축했다. 산호초 생태계는 일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겪는데, 건강한 산호가 많을수록 건강한 생태계가 구축된다. 건강한 산호의 생식력이 그렇지 않은 산호에 비해 4배 이상 높기 때문이다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2012년 경복궁 담장과, 광화문 광장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 종묘 광장 아래에 묻혀 있는 14~19세기 지층의 토양을 추출했다. 그리고 흙에서 회충과 편충, 간디스토마 등 기생충 알을 발견했다. 특히 경복궁 담장 아래에서는 흙 1g당 최대 165개까지 발견됐다. 서 교수는 “채소를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조류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인공어초를 그대로 바다 속에 투입해요. 이런 방식을 ‘종묘 이식’이라고 하지요.이외에도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성숙한 해조류를 양파망에 넣어 인공어초에 매다는 ‘모조 주머니 시설’을 설치하기도 해요. 또 해조류의 포자를 퍼뜨린 그물망을 바다 속 암반에 묶어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것이 있겠느냐? 다만 2억 년 동안 이어 온 선대의 조종세업이 내 대에서 끝나게 되어, 그 종묘사직을 지키지 못하는 것이 한스러울 뿐이다.”황제의 말을 듣고 치클은 네 개의 다리를 물결치듯 진동하였다. 무거운 예의를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치클이 말했다.“황제 폐하, 그와 같이 약한 마음은 먹지 ...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수상할 수 있었답니다.청양고추 이름의 뜻은?청양고추는 1983년 ‘중앙종묘’에서 캡사이신을 추출하기 위해 개발했어요. 그 뒤 경북 청송군과 영양군의 농업인들이 시범 재배했어요. 이곳 농업인들은 청양고추가 있는 그대로 먹어도 좋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농업인들의 생각대로 청양고추는 ...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퀴즈 프로그램 의 사회자 ‘어처구니’입니다. 저를 처음 본다고요? 궁궐 지붕에 살면서 궁궐을 보호하는중요한 역할을 하고 ... 앞뒤로만 지붕면이 펼쳐져 있고 양 옆에는 없다. 단정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종묘와 같은 조선시대 유학 건물과 절의 강당 건물에 쓰였다 ...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많이 불렀다. 해금은 민요나 설화에도 자주 등장해 앵금이나 행금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종묘제례악이나 연향악 같은 궁중음악부터 민간의 무속음악에까지 널리 쓰여 민중에게 친숙한 악기였다.해금은 한반도에 언제 전해졌을까. 조선시대 음악서인‘악학궤범(樂學軌範)’은 해금을 당나라에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