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롱"(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높이까지 알아야 하지요. 슈퍼M과 함께 가구 크기 재는 법을 알아봐요. 책상, 책장, 장롱 등 대부분의 가구는 모든 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뤄진 입체도형인 ‘직육면체’와 비슷해요. 가구가 직육면체 모양이어야 사각형 모양의 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직육면체의 ... ...
- [특집] 시간, 하늘을 넘어 기계로 알아본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어떤 것인지 알아봅시다! 서울 성북구에 있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2층에 들어서면 작은 장롱 같은 물건이 유리장 안에 전시돼 있습니다. 바로 1669년 조선의 천문학자 송이영이 만든 혼천시계(오른쪽 사진)입니다. 혼천시계는 조선의 전통적인 천문기기 혼천의에 서양식 자명종을 결합한 시계로 1985년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통신을 통해 알게 된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천체 사진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장롱에서 묵고 있던, 아버지가 1980년대부터 쓰던 니콘 필름 카메라를 꺼내 별의 일주 운동을 사진에 담았다. ‘어떤 별은 왜 더 밝을까’ ‘왜 별마다 다른 색깔의 자국을 남길까’ ‘뿌옇게 흔적을 드러낸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기숙사 식당 밥에서 요리로 진화 삼시세끼 라이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다는 걸 알게 돼 요즘에는 직접 차를 빌려 마트에 다녀온다. 처음에는 한국의 ‘장롱 면허’로 운전하는 게 자신이 없어 운전을 더 잘하는 친구에게 맡겼지만, 이제는 자신 있게 운전할 수 있다. 그래서 가끔은 영화관에도 가고, 멀리 버클리에 있는 고등학교 선후배들을 보러 가기도 한다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 단짝입니다. 이 날도 어김없이 성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습니다. 정자! 귀두! 콘돔! 한참 장롱에 외치고, 한 시간 가량 녹음을 끝낸 뒤 화장실에 가기 위해 뒤를 돌았는데, 제 방문이 활짝 열려 있었습니다. 활짝. 그리고 거실엔 가족이 모두 모여 있었습니다. 수치심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흔히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개미도 겨울잠을 잔다. 11월 중순에 사람이 보일러를 틀고 장롱 속 전기장판을 꺼내듯 개미도 이맘때 월동 준비를 한다. 이 때 개미들은 단백질성 먹이를 주로 섭취한다. 단백질을 이용해 서둘러 산란을 해서 새로운 세대가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게 준비시키고, ... ...
- 뱀한테 한 수 배우다! 뱀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있을지도 몰라. 그렇다면 우주 정복도 시간 문제겠군, 크크크. 어제 훔쳐둔 로봇을 장롱 속에 넣어 놨지. 어디 열어 볼까? 꺅! 이게 뭐야 진짜 뱀이잖아. 살려 줘!네 정체는 도대체 뭐야? 진짜 배…, 뱀?나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로봇공학연구소에서 태어난 뱀 로봇이에요. 뱀 중에서도 방울뱀의 ...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더웠던 날씨가 비가 한 차례 내리자마자 순식간에 추워졌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은 장롱 깊숙이 넣어둔 패딩 점퍼를 벌써 꺼내들었다. 사계절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가을이 순식간에 사라진 느낌이다. 결국 우리나라는 가을이 사라지는 것일까.RCP 8.5 시나리오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역에 따라 ... ...
-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땀 억제 성분으로 들어간다. 또 신체에 발생하는 냄새제거 효과가 있다. 신발장이나 장롱에 보관하는 물건에 ACE를 입히면 냄새를 줄일 수 있다. …”경기 수원 창현고 과학동아 동아리 ‘우생시’데오드란트는 실제로 요즘 반 친구들이 많이 사용하는 핫 아이템이다. 어떤 기사를 썼을 때 더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바랄게요~!이설(대한제국 공주)은행은 왜 생겼을까?은행이 없던 옛날에는 장독대나 장롱 속에 돈을 넣어 두거나, 버선 속에 숨겨 두는 식으로 돈을 모아두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좀 더 안전하게 자신의 돈을 맡길 곳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은행! 은행에서는 사람들의 돈을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