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률"(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그중 하나는 음악인데, 옥타브를 똑같은 비율로 나누는 음률인 ‘평균율’에 관한 이론서를 집필해 오늘날 ‘음향학의 아버지’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메르센은 수도원 살롱에 많은 연구자를 초대해 적극적으로 교류했다. 르네 데카르트, 갈릴레오 갈릴레이,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곱셈과 나눗셈(승제)을 다루고, 후반부에는 천문 측량을 포함한 측량 문제와 천문 의기, 음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개념과 응용 문제를 차례로 소개한 셈이다. 그런데 주해수용은 그동안 다른 수학서에 비해 수학 지식의 수준이 낮으며, 서구 수학을 소개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평가받아 왔다. 이런 ...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황종관의 길이로 정했다. 이를 기준으로 다시 1촌을 더해 황종척을 만들었다.세종 시대 음률의 교정을 위해 새로 만들어진 길이의 표준인 황종척은 주척, 포백척, 조례기척, 영조척 등 용도에 따라 달리 사용하던 여러 종류의 척을 교정하는 데 쓰였다. 또 되(升)나 말(斗) 등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인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거슬러 올라가 봅시다. 처음 화음을 울린 건 수학자?음악에서 음의 상대적 높낮이를 음률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규정한 사람이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입니다. 피타고라스는 세상의 모든 이치를 수로 해석하려고 했습니다. 음악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정수에 매료돼 있던 ... ...
- 5악장 - 피날레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요즘 바로크 악기로 연주한 고음악 수요가 느는 것처럼요.더구나 수학자들이 새로운 음률을 계산한 결과도 최근 몇 년 사이에 속속 발표되고 있어요. 다양한 개성을 지닌 새로운 음악이 탄생할 가능성도 커진 셈입니다. 새로운 음악을 담을 새로운 악기의 탄생을 기대해 봐도 좋지 않을까요. 혹은, ... ...
- 01. 사랑은 뇌가 한다과학동아 l2004년 06호
- 마치 프랑스 작곡가 조세프 모리스 라벨의 음악 ‘볼레로’ 처럼, 성기에 가해지는 음률적 말초신경 자극에 의해 점차 증폭되는 변연계의 과도한 활성화다.그러나 반드시 성행위를 통해 변연계를 자극하는 방식으로만 서로에 대한 애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뇌 피질을 자극해 변연계 ...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과학동아 l2004년 06호
- 여기에는 당시 스스로 주장막대로 박자를 짚으며 중국의 율려신서를 공부한 세종대왕과 음률에 통달한 박연 등이 기여한 바가 크다. 세종장헌대왕실록 15년 1월 1일자를 보자.왕은 새로 만든 편경 두틀을 가져 오라 하여 중국에서 준 편경과 맞춰보더니 크게 기뻐하면서 “중국의 성음이 과연 맞지 ...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 신경세포들은 이들중 2개의 층에 자리하고 있다. 이 영역들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의 음률과 억양을 인식하는데 쓰이는 부위. 실험대상이 남자5명, 여자 4명에 불과해 표본의 숫자가 적기는 하지만 "결과는 매우 명백하다"고 위텔슨 박사는 말했다.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활동에 대한 연구와 함께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짧은 탄성을 질렀다. 이 때 짤랑거리는 금동관 장식에 부숴지는 달빛은 가녀린 가야금 음률처럼 주위를 환하게 감싼다. 이 때 역관이 한걸음 나서서는 수염을 씰룩거리며 말한다. "陛下, 지난 甲寅月 月食***때 달빛이 유난히 淸明했던즉, 今年에는 大豊이 豫測되는줄로 아뢰오."그러나 여왕은 대답이 ...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과학동아 l1992년 08호
- 그 방법을 계승해 왔다. 이집트에서 티벳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에 걸쳐서, 일정한 음률을 가진 단조로운 말들을 반복하며 외우게 되면 보다 더 깊은 무아지경의 편안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우리 인간들은 경험을 통해서 발견하였다.이 상태가 바로 현대에 와서 변화된 의식의 상태(altered state of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