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장"(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굉장히 맛있어. 그리고 입맛을 돋우고 또 어디에 좋냐 하면....한상궁 : (어느새 와서는)오장육부를 편하게 하여 몸이 가볍고 특히나 눈을 밝게 한다. 한상궁은 말없이 황화채를 만들고 아이들은 서로 눈짓들을 하면서 조용히 배운다.한상궁 : 또 원추리꽃을 넣어 밥을 하기도 하고 국을 끓이기도 ... ...
- 언터처블 : 5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남극해, 북극해),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오곡(쌀, 보리, 콩, 조, 기장), 오장(간장, 심장, 비장, 폐, 신장) 등 참으로 다양하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숫자 5가 지닌 다양한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자.제1코스 Untouchable Number 5 올해 이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언터처블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편, 탕액(湯液)편, 침구(鍼灸)편의 5편으로 구성됐다. 내경편은 4권으로 이뤄졌다. 주로 오장육부의 생리적 기능과 그에 해당하는 질병을 설명하고 있다. 외형편도 4권으로 몸 겉면에 생기는 병, 이비인후과, 안과 질병을 기술했다. 잡병편은 11권이다. 여기서는 질병 진찰법과 병의 원인 그리고 ...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몸이 허할 때 원기를 회복하는 데 특별한 효험이 있다. ‘동의보감’에도 장어가 허한 오장육부를 보하고, 원기를 회복시키는 음식이라는 기록이 실려 있다.그러나 장어를 몸에 좋은 음식으로만 소개하기에는 그 맛이 너무 뛰어나다. 간장이나 고추장 양념을 발라 구워 먹는 장어구이를 떠올리면 ...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8년 07호
- 한의학에서 체질은 단순히 오장육부의 특성만이 아니다. 외모에서 체격, 성격, 행동, 오장육부의 강약까지, 타고난 개인의 특성 전체가 체질이다.한의학에서 체질이 다르다는 말은 서양의학에서 유전자가 다르다는 얘기와 같다. 김 박사는 “체질을 객관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도구가 유전자”라며 ... ...
- 그대에게 바치는 가을 보약과학동아 l2006년 10호
- 한다.우리가 ‘보양’(保養)이라고 부르는 것은 한의학에서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오장육부가 병들지 않도록 예방한다는 뜻과 이미 허약해진 부분을 치료한다는 의미다. 흔히 더운 여름에는 한약을 먹어도 좋은 성분이 땀으로 다 빠져나가니 효과가 없다고 한다. 만약 질병을 예방할 목적이라면 ... ...
- 종기가 사람 잡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해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부 조직의 영양 상태를 개선해서 주름을 없애는 것이다. 오장육부의 기능을 조절하는 경혈에 침을 놓아 전신의 대사 기능을 왕성하게 하거나 정상화시키기도 한다.햇볕은 피부의 천적요즘 같은 여름철에는 따가운 햇볕이 피부질환의 최대 적이다. 깨끗한 피부를 ... ...
- 허리를 웃게 하자과학동아 l2006년 04호
- 생겼다. 경락은 일반적으로 ‘맥’으로 부르는 경맥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며 안으로는 오장육부를 연결하고 있다. 신체 표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경락은 모두 14쌍이며, 경혈의 수는 361쌍이다.그런데 경혈과 경락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기능설과 기질설의 두 가지 설명이 있다 ...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인물인 전유형에 관한 것이다. 그는 임진왜란 중 뒹구는 시체를 해부하고 장기를 관찰해 오장도를 그렸다는 인물이다. 이런 이야기가 이익의 ‘성호사설’에 전한다. 시체를 해부했기 때문에 놀랄만한 의술을 얻었다는 세간의 풍문과 함께, 이익은 “시체를 갈랐기 때문에 제 명대로 죽지 ...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의학의 경락이론에 따르면 다섯 손가락 끝은 인체의 오장육부를 통하는 경락의 시작점이자 끝점이기 때문에 인체의 종합적인 건강정보를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손가락 끝은 기의 발생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전기적으로도 방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키를리안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