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약
잿물
d라이브러리
"
양잿물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환경이 비슷한 미생물이 발견됐다❸
양잿물
도 마시는 미생물이 미생물은 염기성인
양잿물
을 소화하고 분해해서 우리 인체에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 내놓는다❹ 화성에서도 살아남는 미생물나사는 1984년 남극에서 발견한 화석 운석에서 세균이 만든 것으로 보이는 자철광 결정을 발견했다. "예전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것이 바로 그런 이유다. 그렇다고 산화된 우지를 모두 버리면 정말 아까운 일이다. 묽은
양잿물
을 이용해 중화시키면 간단히 깨끗한 우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는 예는 또 있다. 생선에서 나는 비린내는 약한 염기성을 가진 아민이라는 화학물질 때문이다. 여기에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크기의 은(또는 구리)과 아연(또는 주석)을 한 조로 여러개를 높이 쌓고 그 사이사이에
양잿물
을 적신 마분지를 끼워 양끝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기가 발생한다는 획기적인 사실을 적었다. 이것이 바로 지금의 은 - 아연전지의 원조다. 그 후 볼타전지는 다니엘과 같은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수정과 ...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바란다.1 불소는 어떤 물질인가? 우리들은 '불소' 하면 먼저 '치약'을 떠올린다. '
양잿물
' 하면 그것의 화학적 성질보다는 '독극물' 이라는 인상을 받고, '납'하면 용도보다는 '중독'이 먼저 생각나듯이, 어떤 성분에 대해 일정한 선입관 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불소'하면 친근감이 앞서는 이유는 ... ...
종이 곤충에게서 얻은 지혜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남아있는 산성분. 따라서 산성분이 없는 중성지가 오랫동안 보존된다. 우리나라 한지는
양잿물
같은 알카리성 약품을 첨가했기 때문에 중성지보다 더 오랫동안 보존된다.종이의 종류종이의 기능은 크게 쓰기(write), 포장(wrap), 위생용지(wiper)로 3W라고 한다. 요즘은 밤에 불이 없을 때 밝게 빛나는 ... ...
전통 한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12 정도로, 강알칼리성을 나타내는 NaOH와 Mg${(OH)}_{2}$(수산화마그네슘)가 다량 들어 있다.
양잿물
에는 NaOH뿐이지만 식물성 잿물에는 수산화마그네숨이 다량 들어 있어 섬유의 손상을 덜 가져오고 순하게 삶아지는 것이다.이렇게 증기 기운에 풀어진 백피는 흐르는 물 등에 담가 표백 과정을 거친 후 ... ...
물리- 물질의 근본 입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분자식은 ${H}_{2}$${O}_{2}$이며 소금의 분자식은 NaCl이다. HCl은 염화수소이고 NaOH는 보통
양잿물
이라고 하는 수산화나트륨이다. 이렇게 하여 수십억 가지에 달하는 이 세상의 모든 분자들이 약 1백여가지 원자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종이 나무 콘크리트 등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물체들은 이러한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성소다(
양잿물
)를 섞어 끓인 것으로 거품이 나면서 때를 분해시킨다. 가성소다 즉
양잿물
은 종래의 잿물을 개선시킨 것이었다. 다시 말해 잿물속의 알칼리성을 순수결정으로 뽑은 것이기 때문에 그 효과는 탁월했다.그후 모직물 견직물이 크게 유행함에 따라 새로운 세탁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 ...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부분은 심지다. 심지가 녹은 파라핀을 잘 흡수하게 하려면 무명실로 꼬아 만든 심지를
양잿물
로 삶아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명실에 포함된 어떤 성분이 양초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 ...
상상을 초월한 첨단의 종이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제조법. 이 방법은 영국의 '파제스'에 의해 완성되었다. 나무의 섬유질을 가성소다(NaOH
양잿물
)로 삶아 펄프를 만드는 소다펄프법, 아황산(H₂SO₃)을 넣어 가공하는 아황산법 등이 이후 계속 선을 보였다. 닥을 원료로 한 독창적 기법 '한지(韓紙)'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종이의 역사는 유럽과는 조금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