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관"(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어떻게 이용할까?➊ 클라우드 서비스는 믿을만한 서비스 업체를 이용하고, 가입할 때는 약관을 잘 읽어 보세요.➋ 개인정보, 보안이 필요한 정보는 절대 클라우드에 올리지 마세요.➌ 혹시 부득이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를 올려야 한다면 암호화 기능을 사용하세요.➍ 장기 미이용 시 계정이 ... ...
- [SF소설] 블랙홀 뺑소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알지 못했지만, 그것을 드러내서는 안 됐다. 노이즈는 내 물음에 전혀 상관하지 않고서 약관을 읊듯이 계속해서 말했다.“아, 죄송합니다. 설명을 좀 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아 ‘여러분들’이라 함은 지구에 계시는 모든 생명체를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저희 고객이 여러분들의 청소기, 1101111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소용이 없었다. 제작사의 인공지능 상담원은 온종일 당신의 항의를 들으며 몇 번이고 약관을 다시 설명해 줬다. 그 과정에서 당신은 주원이가 언제 어떤 모델로 출시되는지조차 알 수 없다는 사실까지 듣게 됐다.“그냥 그렇게 사라진 거지. 한순간에. 누구를 탓하겠니. 모두 내가 자초한 일인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광고가 나를 쫓아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나의 정보가 다른 사람에게 제공되는 것을 알고 내가 허락했다면 괜찮아요. 하지만 약관이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용어가 많아서 읽지도 않고 체크해버리는 행동 등으로 자신의 정보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해 피해를 볼 수도 있어요. 세계적인 디지털 기기 회사인 애플은 고객의 정보를 추적하는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덕분에 한 교사당 가르치는 아동 수도 늘릴 수 있다.TOVDATA는 데이터 수집 시 필요한 약관 작성, 데이터 활용목적에 따른 처리 방법 안내 등 기업이 개인정보를 지키면서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박효진 TOVDATA 대표는 1월 7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우연한 기회로 창업에 ...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답안을 제시하면 된다.임 선임연구원은 “코버트를 이용하면 수백 쪽에 이르는 보험 약관을 일일이 읽어 보지 않고도 가입 여부나 보험금 수령 가능 여부 등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돕는 도구로 개발되고 있다”고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개념을 만들어 냈는데, 당시는 아직 하드웨어적인 컴퓨터가 출현하기도 전이었다. 약관의 나이였던 그는, ‘튜링기계’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의 사고 영역에 속하는 문제들을 기계가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이제는 대학교에서 전산학을 배우는 학생은 모두 튜링기계라는 개념을 ... ...
- 내 PC를 지켜라!과학동아 l2009년 04호
- 하지만 이렇게 적립되는 금액은 매우 적다. 사용자가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약관에 정의된 금액을 채우기는 어렵다는 얘기다.따라서 이런 리워드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별 혜택도 못 주면서 오히려 불공정 거래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확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온라인 ...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과학동아 l2000년 12호
- 교사를 거쳐 뮌헨대학 교수를 지냈던 교육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5년 23세라는 약관의 나이로 양자역학이라는 학문의 건설에 발을 내딛은지 불과 2년만에 행렬역학과 불확정성 원리를 세상에 내놓은 천재 과학자였다. 1927년 26세에 라이프니츠 대학의 교수가 됐고, 1932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 ...
-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과학동아 l2000년 08호
- ‘네이처’에 실린 약 9백 단어 분량의 아주 짧은 논문으로부터 시작됐다. 논문의 저자는 약관 25세의 미국 동물학자 제임스 왓슨과 30대 중반의 영국 물리학자 프랜시스 크릭이었다. 그들은 DNA가 두 가닥의 핵산이 서로 꼬여있는 나선형 사다리 구조를 갖고 있다는 획기적인 모형을 제안했다.1968년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