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락이
가루
입자
d라이브러리
"
싸라기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변화가 특수한 패턴을 보이면 그 아래 물이 있을 확률이 높다. 물 분포지도를 참고해 금
싸라기
땅을 선점해 보자. 전문가(?)의 추천을 참고해도 좋겠다. 화성 물 탐사 선두주자인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팀은 2019년 북반구 중위도의 ‘아르카디아 평원(Arcadia planitia)’이 화성 착륙과 기지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우주의 모든 부를 거머쥐었다.핍은 모든 시선을 태양과 상석의 실루엣에만 집중했다. 금
싸라기
땅을 살 수가 없다면 그 옆에 붙은 애기 손바닥만한 땅이라도 사야했다. 애기 손바닥만한 땅이 성인 손 크기가 되고, 성인 손 크기의 땅이 한 사람이 누울 수 있는 땅이 되었다. 아버지가 그렇게 땅을 사고 ... ...
[특집] 눈은 어떤 모습으로 내려갈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5호
하고 있지요. 초겨울 또는 이른 봄에 빗방울이 내리다가 찬바람을 만나 얼어붙으면
싸라기
눈이 돼요. 그럼 함박눈과 가루눈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눈사람 만들려면 함박눈함박눈은 상층대기의 온도가 영하 20℃에서 영하 10℃ 사이로 비교적 높고 습기가 많은 날에 만들어져요. 함박눈의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떤 모습이 그려져? 하늘에서 펑펑 쏟아져 내리는 함박눈부터 가루처럼 흩날리는
싸라기
눈, 눈싸움하기 좋은 잘 뭉쳐지는 눈이 생각나지? 애니메이션의 제목이 ‘겨울’왕국인 만큼 다양한 눈을 잘 묘사해야 해. 그래서 조셉 테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교수팀에게 눈을 ... ...
눈 VS 우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봄에는 빗방울이 갑자기 찬바람을 만나 얼면서
싸라기
눈(싸락눈)이 내리기도 한답니다.
싸라기
눈은 눈송이보다 훨씬 작고 둥근 얼음알갱이예요. 우박소나기구름(적란운)에서 내리는 커다란 얼음덩어리예요. 지름이 5㎜~10㎝나 되지요. 소나기구름이 수직으로 거대해지면 구름 꼭대기가 무척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데는 보통 10년 이상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후지 사과 탄생에는 무려 29년이 걸렸고, 금
싸라기
참외 육성에는 17년이라는 세월과 막대한 경비가 들었다.오랜 산고의 과정이 필요한 육종학 연구는 빠른 성과를 강조하는 현대 과학계의 분위기에 밀려 위기를 맞고 있다. 땡볕 아래서 씨를 심고 작물을 ... ...
산타다굴러스의 허무한 추락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앞 미끄러진 흔적 앞에 찍혀 있다.두 번째 문제의 정답모두 거짓말일 수 있다. 하지만
싸라기
눈이 계속 내리고 바람이 세게 분다면 발자국이 남을 정도로 눈이 쌓이지 않는다. 두 번째 사슴의 말에는 오류가 있다.세 번째 문제의 정답 네 번째 문제의 정답사슴의 말을 잘 조합해 보자. 망볼프가 ... ...
4. 천연 항암물질 찾아내는 생명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용해 생산한 물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식물의 유전자에서 인간에게 유용한 금
싸라기
유전자를 어떻게 발굴하는지 살펴보자.2000년말 쌍떡잎식물을 대표하는 애기장대의 게놈프로젝트가 완료돼 약 2만5천종의 유전자가 확인됐다. 2002년 중반에는 외떡잎식물을 대표하는 벼 ... ...
2. 금
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생명과학자는 이전에 없던 캐릭터를 식물에 부여함으로써 맞춤 작물을 만들어낸다. 이를 위해 동원되는 첨단 방법은 무엇일까. 유용유전자 발굴에서 새로운 맞춤 작물이 개발되기까지의 면면을 살펴보자.“만약 딸이면, 우리 딸이 김희선 같은 얼굴에, 이소라 같은 몸매면 좋겠다. 우락부락한 아빠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위에 떠있다. 크기가 보름달만 하고 밝아 맨눈으로도 보인다. 쌍안경으로 보면 흩뿌린 금
싸라기
같은 밝은 빛의 무더기가 시야에 가득 찬다. 온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큰개자리는 온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있어 아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래도 자신이 없다면 오리온자리를 찾아 그 왼쪽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