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으)로 총 1,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개미를 씹으면 캐러멜 향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분자의 종류를 알아냈어요. 검은 개미와 가시 개미는 적을 공격하는 포름산 때문에 신 향이 났습니다. 치카타나 개미는 길을 찾기 위한 피라진 때문에 고소한 향이 났지요. 베짜기 개미의 몸에는 캐러멜과 비슷한 향이 나는 피롤 화합물이 있었습니다. 리우 교수는 “식용 개미의 향을 살려 더 맛있게 ... ...
- 놀러 갈 준비 3. 천재 수학자들의 우주 관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하던데, 컴퓨터도 우주 망원경도 없던 옛날에 우주를 어떻게 관찰한 걸까? 계산의 신, 우주선 가는 길도 계산 미국의 수학자 캐서린 존슨은 1953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계산원으로 일했어요. 지금처럼 뛰어난 성능의 컴퓨터가 없던 때라, 우주에 관련된 복잡한 계산을 사람이 직접 해야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천문학자] 밤하늘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있는지, 하늘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 인간 세상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신탁도 적혀 있지요. 이 바빌로니아 별자리가 이후 고대 그리스로 넘어와 조금 바뀌어 오늘날 우리가 쓰는 별자리의 기초가 되었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8개의 별자리는 1922년 로마에서 열린 최초의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세워서 공이 그 종이를 넘어가면 골인’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실제 축구 경기에선 종이 대신 레이저를 사용해 공이 레이저 빛을 기준으로 어디에 놓였는지를 보고 골인 여부를 판단해요. VAR이라고 부르는 영상을 이용하는 심판 시스템이 나오기 훨씬 이전부터 이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다시 수학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안 돼 아예 발전소를 만들었지.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었소. 만들어진 전기를 다른 신들에게 보내야 하는데, 방법을 모르겠네. 그대의 마을에는 전력 수송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더군. 그래서 도움을 받기 위해 불렀소.” 제우스가 고심하는 표정으로 말했습니다.“걱정하지 마세요. 그래서 모셔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공식 사이트 ‘MLB닷컴’에서도 이해할 수 없는 작전이라며 감독을 비판했고, 감독은 자신의 착각이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 이제 다저스의 벽처럼 극단적으로 수비수를 옮기는 수비 시프트는 MLB에서 볼 수 없다. 2023년부터 극단적인 수비 시프트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인위적인 수비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축구의 기본은 패스다. 패스를 잘할수록 공격의 기회가 많아진다. 그런데 패스를 유기적으로 잘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한 스페인 데이터 과학자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래프 이론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래프 이론이란 수학에서 점과 이들을 연결하는 선들로 구성된 그래프의 성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구속 158km/h의 포심 패스트볼이라는 강력한 구위가 있었지만, 루상에 주자가 있으면 자신의 투구를 하지 못했다. 주자가 없을 때 주자를 내보낼 확률이 0.580이었던 반면, 주자가 있으면 0.690, 주자가 2루 이상 득점권에 있으면 0.900으로 크게 뛰었다. 그래서 주자가 없을 때 등판 가능한 1이닝에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협력해서 상대 팀 선수를 막아야 한다. 그런데 선수들이 아무 위치에나 서 있다면 자신의 구역을 사수하지 못하고, 결국 경기에서 질 수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대형이다. 축구 경기를 보면 한 번쯤 들어봤을 4-4-2, 3-5-2, 4-3-3 등이 바로 대형의 종류다. 대형은 선수를 경기장에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쓴 책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후 1202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자신의 책 에 피보나치 수열을 소개해 유명해졌습니다. 그는 어느 날 토끼가 새끼를 낳고 번식하는 모습을 보다가 호기심을 갖고 한 문제를 만들었어요. ‘갓 태어난 토끼 한 쌍이 있다. 이 토끼 한 쌍은 두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