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신"(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우주 태양광 발전의 핵심 무선전력전송 1.8km 신기록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켜는 데 성공했다. 이상화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은 “KDSA에서 쏜 전파를 안테나가 수신해서 직류로 변환한 뒤 LED에 불을 켠 것”이라고 설명했다. 1.82km 기록은 지난 1975년 미국의 1.5km 무선전력전송 기록을 뛰어 넘는 세계 신기록이다.항우연은 실험 일주일 뒤인 2023년 11월 28일, 높이가 55m인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중심을 잘 볼 수 있는 지구의 남반구에 있다. 남아공에는 2~85cm 파장의 우주 전파를 수신하는 SKA mid(미드)가 MeerKAT의 확장판으로 건설된다. SKA mid는 MeerKAT 64기의 망원경에 새로 건설될 133기의 15m 망원경을 더해서 최대 150km 크기의 망원경 분해능을 얻도록 설계됐고 2021년 건설이 시작됐다. SKA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개 달린 리모컨 기판에 배터리 박스와 안테나를 연결해 리모컨을 만듭니다. 그다음, 수신기 판과 모터, 배터리 박스를 전선으로 연결한 후 바퀴를 끼우고, 4개의 바퀴에 긴 무한궤도 벨트를 걸면 탱크 본체 완성! 배터리 박스에 배터리를 모두 채웠다면, 이제 리모컨 버튼을 눌러 탱크를 마음껏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2023년 11월 16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보낸 레이저를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서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23년 10월 발사되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으로 향하는 프시케 탐사선에서 레이저를 보낸 거였죠. 현재 우주선과 교신하는 방법은 인터넷처럼 전파를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도착한 뮤온 입자의 경로를 확인했어. 옥상의 검출기를 기준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수신기가 감지한 뮤온 입자의 상대적 좌표를 확인했지. 그 결과, 지하에서 사람이 이동한 경로와 뮤온 입자의 경로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어. GPS와는 어떤 점이 달라? 일반적으로 위치를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이뤄졌습니다. 메이플 내부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약 30c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요. 수신기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이를 전기로 변환하면, 송신기가 전기를 전파의 일종인 마이크로파로 바꿔 지구로 전송합니다. 연구팀은 전파가 만나 더해지는 ‘전파 간섭’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지구의 원하는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쏘아 올린 뒤 지구 어디에서나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동시에 받아 위성에서 수신기까지 전파 도달 시간을 잰다. 이를 토대로 3차원 위치 좌푯값을 알아낸다. 인류는 GNSS라는 기술이 나오기 훨씬 전부터 지구를 항해하고 탐험했다. 지구 위의 어느 위치든 위도와 경도 좌표로 나타낼 수 있기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직책을 맡은 정부측 인사였다. 박영선을 통해 우두법을 알게 된 지석영은 직접 수신사를 따라 일본에 가서 일본인 의사에게 우두법을 배워오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는 지석영이 정부의 우두법 보급 네트워크 안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지석영은 1885년, 충청도의 ‘우두교수관’에 ...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우주에서 얻은 태양광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해 지구에 보냈고, 그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핵분열 원자로와 같은 방사능 없는 수소 핵융합 발전도 연구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화석 연료를 아예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은 실용화 단계에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수소를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공식적인 블랙홀 관측에 처음 참여했을 때만 하더라도 EHT 연구자들이 다주파수 동시 수신 체계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 연구자들과 교류가 많아지고, EAVN의 관측 성과가 EHT 공식 논문으로 발표되며 점차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ngEHT 프로젝트가 시작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