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공위원회"(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간을 ‘흐른다’고 표현하는 것은 붙잡아둘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2023년이 왔다가, 지나가고 있다. 과학은 2023년을 기억할만한 성과와 이슈를 남겼다. 모두를 놀라게 했고, 기쁘게 했고, 또 씁쓸하게 만들었던 10개의 과학이슈를 정리했다. 함께 2023년을 되돌아보자. ① 생성형 AI 챗GPT 사용자 1 ...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최초’라는 수식어는 항상 책임감이 따른다는 점에서 그 무게가 엄청나지요. 여기 수학을 밑거름으로 최초라는 이름을 따낸 이들이 있습니다. 창업 경험을 발판으로 기업가에게 ‘찐 도움’을 주는 사람부터 우리나라 금융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사람, 남성이 대부분인 곳에서 여성으로서 첫 ... ...
- [이달의 과학사] 1958년 5월 1일 지구를 둘러싼 밴앨런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1958년 1월 31일, 미국 국가항공자문위원회(NACA)는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습니다. 익스플로러 1호에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장비인 ‘가이거 계수기’가 실려 있었습니다. 지구 궤도의 방사선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기 위해서였죠. 놀랍게도 지구 궤도의 방사선 수치는 미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8일 발사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유럽 발사체 아리안5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상상했다. 이번에는 떠날까. 이달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드디어 발사된다. 1996년 차세대 우주망원경(NGST)으로 처음 제안된 이후 25년 만이다. 성공적으 ...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편집자 주. 지난 6월 미국 국방부는 UFO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설명이 어려운 일부 미확인 공중 현상(UAP)을 언급하며 착각이나 센서 에러로 결론을 내렸다. UFO 연구자들은 이들이 UFO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국내 대표적 UFO 연구자의 의견을 소개한다.미국의 유명 천문학자 ...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거대한 풍선이 하늘 위로 떠올라 약 20km 상공, 성층권에 닿는다. 풍선 아래에서는 탄산칼슘 가루가 뿜어져 나오며 강력한 햇빛이 지표면에 닿기 전 반사한다. 6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행할 예정이던 지구공학(Geoengineering) 실험, 스코펙스(SCoPEx)의 시나리오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극복할 창의적인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우리스 종족이 지구 궤도 근처에 찾아 온 이유는 최강의 생물을 찾기 위해서였다.“의원님, 복코코 종족의 자료에 따르면 이 행성 최강의 종족은 사람이라는 동물입니다.”우리우리스의 우주선에 타고 있던 보좌관이 담당 의원에게 말했다. 복코코 종족은 호기심이 왕성한 종족으로 은하계 전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만 1927개.미국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초대형 프로젝트 ‘스타링크’에 포함된 인공위성의 수다. 스페이스X는 작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이중 800여 대를 발사했다. 세계적인 IT 기업 아마존도 앞으로 지구 저궤도에 3236개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이다. 이중 절반은 2026년까지, 나머지 절반은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5, 4, 3, 2, 1, 0, 쿠쿠쿠쿠쿵’.자동 발사 초읽기 시계가 0을 가리키는 순간, 굉음과 함께 나로호 1단 엔진에서 수증기가 뭉게구름처럼 피어올랐다. 엔진이 가동하며 분출되는 2000도짜리 연소 가스가 발사대를 녹이지 않도록 초당 1400L의 물을 쏟아부어 생긴 수증기였다. 곧이어 나로호는 거대한 불꽃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믿을 수 없지만 필자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지도 11년이 지났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는데, 과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 우주 비행을 했던 우주인들의 경험을 듣다 보면 꽤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느껴진다. 일단 2008년 필자가 ISS에 갔을 당시엔 ‘큐폴라’라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