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연"(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가장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는 입자다. 윔프를 연구하고 있는 이현수 IBS 지하실험 연구단 부연구단장은 “강원도 양양 양수발전소 연구시설(Y2L)에서 진행 중이던 윔프 탐색 실험을 검출기 규모를 두배 키워 예미랩에서 새롭게 시작할 계획”이라며 “코사인(COSINE)-200 검출기는 순수 한국 기술로 만든 ...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다른 것 같다”며, “보통은 첫째 솜이가 액체고 둘째 사탕이가 고체에 가깝다”고 부연했다. 자, 경험적 증거를 얻었으니 이제 진짜 연구를 들여다보자. 유변학자, 고양이의 점탄성을 사유하다 김 기자와 비슷한 생각을, 2014년 인터넷의 ‘고양이 액체설’ 관련 논쟁을 보던 마크-앙투안 파르딘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그것, 정말로 부자가 됐냐는 질문을 던졌다. “예, 많이 법니다”라는 멋진 답변과 함께 부연설명을 했다.“하지만 미래의 수익을 당겨 쓴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 플랫폼이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고, 그보다 먼저 제 채널이 계속 인기가 많을지도 장담할 수 없으니까요. 월급을 받던 시절보다 수입은 ... ...
- [과학 뉴스] 디스플레이, 이제 종이처럼 접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부분을 포함한 모든 화면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어요.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향후에는 더 복잡한 외형을 가진 QLED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또 현택환 단장은 “전자 종이 및 신문, 태블릿 등을 비롯한 소형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수 fs 만큼 순식간에 일어나죠. 지난해 6월 기초과학연구원 나노물질 연구단 이효철 부연구단장팀은 분자가 탄생하는 순간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진은 흩어져 있는 금 원자 세 개에 레이저를 쏜 뒤, 이 과정을 들여다봤어요. 그 결과 원자 두 개가 먼저 결합하고, 이후 나머지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혁신적 산업혁명이 결국은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기 위한 기술’로 진행될 것이라 부연한다. 의료·바이오 분야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그 길의 초입에 섰을 때 나는 저자의 예측이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고 느꼈다. 그의 말처럼 오늘날의 혁신기술은 대부분 의료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촉매의 200배로 그간 학계에 보고된 가장 우수한 촉매보다 15배 많았다. 이 부연구단장은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에 더해 유용한 화합물 합성에 중간체 역할을 하는 일산화탄소를 다른 부산물 없이 얻어 경제성을 높였다”며 “촉매 반응 중간에 발생한 일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합물로 제조하는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식의 전문적인 표현을 쓰면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가진다’는 등 부연설명을 덧붙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간단한 내용은 내가 직접 설명하기도 한다. 돌이켜보면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2017년 포항 지진, 2019년 보잉737 추락사고 등 국내외에서 발생하는 크고 ... ...
- [과학뉴스] 신경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현미경으로는 어린 제브라피시의 신경망만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최원식 IBS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현미경이 뇌신경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밀측정과 관찰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doi: 10.1038/s41467-019-11040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제 우리는 태양계 바깥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멀리 왔지요? 그런데 이곳에서도 인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여기 어디에 뉴 호라이즌스호와 보이저호가 있을 텐데…. 아, 저기 있네요!” 더 멀리! 태양계를 벗어난 위성 인류가 가장 먼 곳까지 보낸 우주 탐사선은 무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