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식"(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일어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리 위에 니켈(Ni) 도금이 삼중으로 올라간다. 니켈의 역할은 부식을 막는 것이다. 니켈은 산화하면 내부의 산화를 막는 피막을 형성하는 내식성을 가진다. 그러나 니켈은 광택이나 내구성은 떨어진다. 니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지막에 더해주는 원소가 크롬이다. ... ...
- [인포그래픽] 산업계 팔방미인, 도금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늘날 도금 기술은 귀금속은 물론, 부식 방지를 위한 아연(Zn) 도금부터 카드뮴(Cd) 도금, 주석(Sn) 도금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금은 크롬(Cr) 도금이다. 어떤 도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대표적인 크롬 도금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보자.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갈대과 식물의 줄기를 이용해 만든 옛 종이다. 내구성이 약해 공기와 만나면 쉽게 부식된다. 그런데 파피루스의 빌라에 보관된 고대 파피루스는 탄화된 뒤 땅속에 묻혀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은 채 보존됐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1750년, 한 농부가 우물을 파다가 저택의 대리석 바닥을 발견하면서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관계 공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줄까요?흔히 곰팡이라 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있습니다. 먹을거리를 부패시키고 가구를 부식시키는 존재라고만 생각하지요. 버섯도 곰팡이에 속하니, 혹시 버섯들도 나무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진 않을까요? 이런 걱정과는 달리, 버섯은 숲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요. 매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다른 물질과 반응을 잘한다는 특징이 있어 공기 중에 리튬을 두면 습한 공기에 빠르게 부식돼요. 금세 칙칙한 은빛 회색이 되었다가 이내 검게 변색되지요. 이런 탓에 순수한 리튬을 보관하려면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기체나 불활성 액체, 혹은 진공 속에 넣어야 해요. 리튬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제우스의 번개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녹여 전해질에 넣었더니, 키토산 분자가 아연이 물과 결합하지 않게 해줘 아연이 부식되지 않았어요. 덕분에 400시간 동안 연속으로 작동할 수 있었고, 배터리가 1000번 동안 방전되어도 기존 수명의 99.7%를 유지하는 등 뛰어난 성능을 보였습니다.리앙빙 후 연구원은 “키토산으로 만든 배터리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어서 사라지는 마술 아님! 음료수 마술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거죠.그러면 캔 안쪽에 남은 투명한 막은 뭘까요? 알루미늄 캔이 산성을 띠는 콜라에 부식되지 않도록 콜라와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안쪽을 코팅한 거예요. 그래서 금속 알루미늄이 녹아서 사라진 뒤,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막만 남아 캔이 투명하게 보이는 거랍니다. 한걸음 더!스마트폰만 ... ...
- [가상 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컸던 상어! 백상아리한테 먹이 뺏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기존에는 이빨의 조직을 이루는 질소를 분석해 식단을 알아냈지만, 이 조직이 쉽게 부식되어 더 오래 보존되는 아연을 분석하기로 했죠. 아연에는 다섯 가지 정도의 동위원소●가 있는데, 여러 종의 상어 이빨에 쌓인 아연의 동위원소의 비율을 알아내면 동물들의 먹이사슬 위치를 알아낼 수 있어요 ... ...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섬유 복합 콘크리트’라는 소재를 사용해요. 탄소 섬유 복합 콘크리트는 염분에 의해 잘 부식되지 않고, 기존 철근보다 강도가 6배 강하며 알루미늄보다 가볍다는 장점이 있습니다.건물이 물속에 있으면 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해야 해요. 이를 위해 해저 모듈은 해양 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말해요. 이는 실생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반응이에요. 물질이 불에 타거나 금속이 부식되는 일 등이 산화·환원 반응 때문이죠. 이 실험에서는 과일의 산화·환원 반응을 응용해 전구에 불을 밝혔어요. 전구에 불을 밝히려면 얼마큼의 과일이 필요할까요? 궁금하다면 지금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