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조인"(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해해 법적 판단을 내리고, 판결문까지 작성할 수 있는 AI 판사가 등장하길 기대하는 법조인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재판 예측 알고리즘의 역사는 무려 60년 학술적인 의미에서 AI 판사는 일반적으로 재판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사실 재판 예측을 연구한 역사는 매우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산업을 공부하기 위해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거나, 특허법과 기술 분쟁을 다루는 법조인이 되기 위해 법학전문대학원에 갈 수도 있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고, 여전히 하고 싶은 게 많아, 앞으로도 인생의 선택지를 다양하게 열어 놓으려고 한다. 다만 나는 한국 정부의 장학금 등 국가로부터 많은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637년 프랑스의 법조인이자 아마추어 수학자인 피에르드 페르마는 소수와 관련된 추측을 내놓는다. 본인의 이름을 따서 Fn=22n+1으로 나타나는 수를 ‘페르마 수’라고 이름 붙였는데, 음수가 아닌 정수 n에 대해 페르마 수는 모두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소수라는 게 그의 추측이다. 예를 들어 F0는 3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한다. 편견에 가득 찬 악플을 인터넷에 잔뜩 올리는 사람이 있었는데, 알고 보니 고위 법조인이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필자의 진료실에도, 노인이 잘못된 결정을 고집하거나 갑자기 화를 내는 증상을 보이는 바람에 치매를 걱정한 가족들이 모시고 오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검사를 해보면 ...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말했다.최근 MBA(경영학 석사) 중에서 이공계 출신 비중이 많아지고 있고, 전문성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려고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만들어진 것이 이런 흐름을 말해준다. 과학기술로 승부해야 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이러한 전문가가 앞으로도 꾸준히 필요할 것이다.한경옥 부원장은 “목표가 금융 ... ...
- 법학과 수학의 교집합은 논리학수학동아 l2010년 07호
- 법을 해석하는 능력과 논리적인 사고력이 있어야 해요. 즉 논리력을키우기 위해, 법조인이 갖춰야 할 능력을 갖추기 위해 법논리학을 공부해야 해요.법과 수학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 ➊ 프랑수아 비에트(1540~1603)프랑수아 비에트는 고등법원 판사였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수학 공부에 몰두했다. ... ...
- 법조인이 되고 싶다면 수학을 공부해수학동아 l2010년 07호
- “30점?! 수학이 30점인 거야? 다른 과목만 잘하면 뭐 하니? 수학 때문에 평균도 낮고 이래서 판사가 되겠니?”“걱정하지 마세요! 판사가 되는 데 수학 아무 소용 없거든요. 법과 수학이 무슨 관련이 있겠어요?”“그래도 기본은 해야지! 30점은 너무 심하잖아. 담에도 이러면 혼난다.”“아~, 정말 걱 ... ...
- 수학을 잘 해야 추리를 잘 한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하고 못 하는 것은 추리를 잘 하느냐 못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어요. 밀의 말처럼 추리는 법조인이 갖춰야 할 중요한 능력 중 하나예요.추리에는 크게 연역추리와 귀납추리가 있어요.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적용할 법이 명확하면 연역추리를, 법은 명확한데 어떤 법을 적용해야 할지 고민이 ...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8월 말까지는 초안을 마련하고 시민사회단체, 종교계, 법조인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열어 9월께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존엄사를 보는 세계 각국의 시각 세계 주요 국가들은 대개 존엄사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법제화 수준은 조금씩 다르다. 미국에서 자발적 ... ...
- DNA검사에 숨어 있는 확률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3호
- 판례다.법조인도 확률과 통계 알아야최근 15~20년 사이에 확률이나 통계의 정확한 의미를 법조인에게 가르쳐야 할 필요성이 급격히 커졌다. 담배나 의약품이 건강을 실제로 해쳤는지 여부를 가리거나 환경파괴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통계학회는 판사들에게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