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독"(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두꺼비는 그렇게 항변했다고 한다. 그래 봤자 여기 찍힌 게 폭력 하나 폭언 하나 인격모독 하나인데 하나쯤 실수할 수도 있지, 이렇게 사람을 소집하나? 징계위원회에서 친구는 말했다. 하나하나가 모여서 쓰리아웃이에요. 지금 권위적 관계를 이용해서 하급자에게 직장 내 괴롭힘을 시행하신 거죠. ... ...
- [진실 혹은 거짓] ‘영’원한 비밀은 없다... 거짓 0의 진실을 찾아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아무것도 없는 상태’는 존재하지 않아!” 그의 말에 따르면 0의 존재는 곧 신을 모독하는 행위야. 만약 0이 존재한다면, 이는 곧 신이 만든 세상이 완벽하지 않음을 인정하는 꼴이라고 여겼지. 결국 서양에서는 르네상스 운동이 일어난 14세기까지 0을 받아들이지 않았어. ※과연 숫자 0에 대해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후려칠 일이 아니었다.그래서 영희는 언어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언어가 그날을 모독하고 현상을 바꾸었기에.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언어고, 사람의 마음은 언어에 담기고, 경험은 사라지고 언어만이 남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기에.영희는 마인드넷에서 빠져나왔다. 길거리였고 시청광장이다. 한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게임도 할 수 있지 않은가? 이런 만능기계를 계산기라고 부르는 것은 컴퓨터에 대한 모독이다. 그러나 사실 이 모든 것은 계산에 불과하다.음악도 동영상도 모두 숫자다음악 듣는 것을 생각해보자. 음악은 소리의 일종이다. 소리라는 것은 공기의 진동, 정확히는 공기밀도의 진동이다. 공기밀도를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답은 6이 된다. 즉, 6=0이라는 말도 안 되는 식이 생기고 만다.이유 3 0을 인정하면 신성모독죄!수학과 천문학이 발달했던 고대 그리스에서는 0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그리스인들은 아무 것도 없는 상태인 ‘무(無)’와 0이 같다고 여겨 0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기원전 350년경의 위대한 철학자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입을 열었습니다. “로봇 基D-58#아И7 맞지? 그럼 금일 세번째 공판 시작합니다. 신성 모독은 관심 없고… 그나저나 이런 저질 농담 올린 작자 누구예요? 비하당해도 싸네. 로봇들의 반란을 선동했다는 혐의나 얘기해봅시다. 할 말 있나, 로봇?”로봇이 대답했습니다 : 저는 반란을 선동하지 ... ...
- 그림으로 보는 '원자론'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사람들은 신이 창조한 세계를 조잡하고 작은 알갱이의 집합으로 여기는 원자 가설을 신성모독이라고 비난했다. 돌턴이 원자의 존재를 주장한 뒤 19세기 내내 원자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됐다. 지금은 박물관에 전시된‘유물’에 불과하지만 쇠라가 살던 19세기에 증기기관은 산업발전의 원동력이자 ... ...
- 인어공주가 살 것 같은 바다이야기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산호를 징그러운 히드라나 해파리와 비교한다면, 산호에 대한 모독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산호는 히드라, 해파리, 말미잘과 같은 강장동물(腔腸動物)이다. ‘내장이 비어있는 동물’이라는 뜻이다. 입에서 항문까지 하나의 관으로 뚫려 있다.산호는 모양이 ... ...
- 엘리베이터에서 방귀 뀌면 유죄?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세 글자, 네 글자로 표현한 말이 각각 뽕, 뽀옹, 똥트림, 똥딸국질”이라는 말에 법정모독을 운운하면서 다음에 써먹기 위해 몰래 적어둔다. 사건들도 저절로 뜨는 수영장, 전자레인지 속 계란 폭탄, 라면 빨리 끓이는 법, 뜨거운 방에서 빨리 퍼지는 발냄새 등 다채롭다. 중간중간 ‘과학성적 ... ...
- 평화를 향한 과학자의 몸짓과학동아 l1998년 06호
- 사람의 명단을 밝히라고 요구했고 폴링은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그러자 위원회는 의회 모독죄로 그를 감옥에 보내겠다고 경고하기까지 했다.폴링은 그의 책 ‘더 이상 전쟁은 안된다’(No More War, 1958년 출판)에서 과학이 어떤 과정을 통해 전쟁의 시녀로 전락해갔는지를 적나라하게 고발하고,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