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량"(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이사를 하면서 침대, 책상, 의자, 장롱 같은 가구를 새로 샀어요. 제 취향에 맞는 색으로 골랐지요. 그런데, 책상의 모양만 보고 샀더니 책상이 너무 커서 방에 들어가지 않네요. 가구의 크기는 도대체 어떻게 재야 하나요? 옛날에는 길이를 어떻게 쟀을까? 가구를 사러 가면 종종 ‘6자 장롱 ...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각자만의 기준을 사용해서 눈앞에 있는 물체를 재왔네요. 그러면 언제부터 일반적인 도량이나 측정 말고, 학문으로서 기하학을 하기 시작했나요? 인문학자 : 기하학의 대표적인 책인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 기원전 4세기 추정)의 저서 부터 이야기해야 할 것 같아요. ... ...
- [수학뉴스] 데이터 폭증! 단위 표현 4개 추가됐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 있게 됐습니다. 11월 18일 세계 각 나라의 대표들이 모여 단위 문제를 결정하는 국제도량형총회에서 국제단위 접두어 4개를 만들기로 의결했습니다. 그 주인공은 퀘타 Q(quetta, 1030), 론나 R(ronna, 1027), 퀙토 q(quecto, 10-30), 론토 r(ronto, 10-27)입니다. 새로운 접두어가 추가된 건 1991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국제도량형국은 작년 11월 18일 ‘퀘타’, ‘론나’, ‘론토’, ‘퀙토’ 접두어 4개를 추가했어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접두어로는 수를 표현하기 번거로운 상황이 생겼기 때문이지요. 접두어란 1000m를 1km로 쓸 때 사용하는 k(킬로), 1000분의 1m를 1mm로 쓸 때 사용하는 m(밀리) 등 수를 ... ...
- [과학뉴스] 지구 무게는 6론나그램, 새 접두어 4개 도입과학동아 l2023년 01호
- 36개 준회원국 대표들이 4년마다 모여 측정과 단위 관련 사항을 결정하는 기구다.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새 접두어가 도입된 건 1991년 이후 31년만이다. 리처드 브라운 영국 국립물리연구소 계측학 책임자는 AFP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현재 가장 큰 접두어인 요타(10의 24제곱)로도 한계가 ... ...
- [꿀꺽! 수학 한 입] 착한 콩쥐를 모두가 도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새어머니와 동생 팥쥐의 구박을 받는 콩쥐. 어느 날 콩쥐에게 무척 어려운 숙제가 생겼어요. 커다란 볏짚 주머니 속 볍씨의 껍질을 모두 벗기고, 밑부분이 깨져서 물이 줄줄 새는 장독에 물을 꽉 채워야 한대요! 껍질을 까야 할 볍씨의 개수는 몇 개일까요? 장독에 채워야 할 물의 양은요? 콩쥐에게 ... ...
- [이달의 과학사] 1972년 6월 30일 1초가 늘어났다? 첫 윤초 도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지구 자전 속도가 조금씩 달라지면서 하루의 길이도 조금씩 달라졌거든요.1967년, 국제도량형총회는 원자시계를 이용해 더 정확한 시간의 기준을 만들었어요. 원자는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하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는데, 세슘 원자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을 1초로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1971년에는 달러본위제를 운용했다. 노동이 들어간 생산물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도량형, 금과 지폐, 은행과 정부가 만들어졌다. 어떤 물건이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만큼의, 어떤 노동이 들어가는지 양과 질을 측정하고 하나의 사회적 약속으로 만들고자 발명된 것이 화폐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폐를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자신의 언어로 번역했습니다. 그렇게 개발한 기술은 또 다른 과학인 통계학과 도량형학이라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돼 탄저병과 싸워 이길 수 있는 무기가 됐습니다. 탄저병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그의 연구 이후에 탄저병으로 죽은 가축의 수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보여줄 통계가 없었다면 ...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촬영한 건 일생일대의 기회였다. 물리학 전공자에게 꿈의 학회인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 방문한 날은 평생 잊을 수 없을 것이다. CGPM은 과학의 근간을 만들어 준 ‘측정’의 기준과 기본단위를 정하는 회의다. 이 회의에서 ‘kg’이라는 단위의 기준이 실물 1kg이 아닌 플랑크 상수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