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증
입론
논의
논리
추리법
추론법
d라이브러리
"
논법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컴퓨터과학과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대략적인 정의와 성질만 나와 있는 것을 보고 엄밀한 정의에 궁금증을 느낌. 엡실론-델타
논법
을 이용해 함수의 극한의 정의에 대하여 PPT로 발표함. 정의에 사용되는 기호부터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고 실수의 조밀성부터 설명함. 대학교 수준 극한의 정의를 최대한 학우들이 이해하기 쉽게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을 알려드릴게요!
수학동아
l
2021년 12호
3을 곱하는 거예요. 어렵고도 엄밀한 증명법은 ‘실수의 완비성 공리와 엡실론델타
논법
’을 사용하는 거고요. 그러나 이해하기 어려워서 수학 관련 커뮤니티에서 잊을 만하면 이 개념이 회자됐어요. 그래서 저는 이런 질문이 줄어들기를 바라며 0.999가 1인 이유를 50장짜리 카드뉴스로 정리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그런데 논리를 펼치기도 전에 마주해야 하는 중요한 질문이 있다. 사고의 전개가 삼단
논법
을 통해서 이뤄진다면 사고의 시작점은 어디에 있을까?그때 필요한 게 바로 ‘공리’다. 진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가정을 명확하게 밝히는 과정에서 공리는 나타난다.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하기 위해선 ‘실험적 방법’과 ‘귀납 추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또한 그는 3단
논법
과 같이 연역적인 방법으로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반대했어요. 질문의 답을 정해 놓고 그 답에 맞춰 연구하는 것은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실험을 통해 자료를 얻고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차이가 별로 없더라”는 영국 토양협회의 주장을 소개했다(이번 스탠퍼드대 연구와
논법
이 비슷하다). 2004년 4월에는 아예 ‘유기농 FAQ’라는 제목으로 다양한 의문을 소개하며, “영양 면에서 비타민이나 철분, 페놀 대사물 등 (몸에 좋은) 성분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개발국에서는 부족하지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결론이 나오지요. 그런데 비둘기는 소전제와 결론을 바꾸어 썼습니다. 비둘기가 삼단
논법
의 형식을 갖추려명 이렇게 말했어야 합니다. 물론 '앨리스는 뱀이다'라는 소전제가 틀렸으므로 비둘기의 논리는 틀린 것이지요.허공에 둥둥 뜬 수그리고 이번에는 꼬리 끝에서 시작해서 얼굴의 웃음까지 ... ...
로또 당첨확률 높이려면?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모두 6개므로 이 5조 가운데 한 조는 적어도 2개의 당첨번호가 포함돼 있다. 이같은
논법
을 ‘비둘기 집의 원리’ 라고 하는데, 6마리의 비둘기가 5개의 새집에 들어간다면 그 가운데 한집에는 적어도 2마리의 비둘기가 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만약 (1~9)의 조에 적어도 2개의 당첨번호가 있을 경우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않은 소수는 얼마든지 무한히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칸토르는 이 증명법을 대각선
논법
이라 이름 지었다.연속체가설0과 1사이에 있는 소수 전체의 농도를 ${א}_{1}$이라 표시한다. 길이 1인 선분에 관해서 말했으나 직선 전체의 농도도 선분상의 것과 같은 ${א}_{1}$의 농도를 갖는 것이다. 그 증명은 ...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대조적으로 로맨틱한 것을 찾는다면 '시인은 꿈을 먹고 산다'는 말이 있다. 이와 같은
논법
을 쓴다면 '수학은 모순을 먹고 산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서양의 모든 학문은 그리스에 뿌리를 둔다. 수학의 세계에 처음으로 모순이 등장한 것 역시 그리스였다. 그리스의 사고는 명확하고 정연한 질서만을 ... ...
기계는 상식을 가질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예컨대 X는 새이다. 새는 하늘을 난다. 따라서 X는 하늘을 날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논법
이다.그런데 민스키는 이와같은 글을 사용하여 논리학이 얼마나 쓸모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민스키의 반론은 여기에는 예외가 많다는 것이다. 예컨대 펭귄이나 타조 그리고 죽은 새는 당연히 날 수 없다.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