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침판"(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내용을‘사이언스’ 2009년 1월 2일자에 실었다. 논문에서 데드 교수는 스마트폰의 전자나침판 같은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체감형 게임 사례를 소개했다. 국내에 등장할 체감형 기능성 게임이 어떤 평가를 받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과학동아 l2007년 05호
- 기념해 만든 아르고(Argo)자리를 배의 뼈대에 해당하는 용골자리, 꼬리부분인 고물자리, 나침판자리, 돛자리 4부분으로 나눴다. 라카유가 제정한 별자리는 모두 17개로 이 별자리들은 남반구 별자리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생각해 보면 다소 조잡하고 별 것 아니게 보일지 모르지만 ...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경우는 운행중에 자동차의 위치를 수정해야 했다.이와 같이 오차가 생기는 이유는 자기나침판의 자기방해, 부적절하게 입력된 자료, 잘못된 길안내 등이었다.따라서 자동차 운행장치에는 더욱 정밀한 디지틀 지도자료가 요구된다. 또한 지도자료에는 교차로와 도로경계표가 표시되어야 하며, ... ...
- 자동차안내 전자지도 시스팀 모니터통해 모든 도로정보를 안다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차이로 차가 얼마나 회전하는지도 판단할수있다. 이때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전자 나침판으로부터 읽은 자료로 보정을 가한다. 이 기법은 '추측항법'(deadreck oning)이라고 불리우는데, 차의 위치를 15미터 이내의 오차로 추적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내비게이터는 계산결과를 지도 데이타베이스의 ... ...
- 지동설이 나오기 까지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천체에 대한 연구도 배가되었다. 물론 항해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것은 '나침판'의 발견이었지만, 천체에 대한 연구 역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증대되었고 보다 세밀화되었다.확실히 '지동설'은 그에 부응했던 연구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지동설이 준비되기까지 문제는 앞서 살펴보았던 ... ...
- 심해의 잠수부 원격조종로봇(ROV)은 어떤 것인가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조종하는 조종간과 각종계기, 안전장치, 전원공급제어기 그리고 수심계 선수방향나침판 선수회전수 기록기 등 수중로봇의 상태자료를 감지하여 모니터상에 표시하여 주는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는 콘솔박스(Console Box), 그리고 로봇으로부터 오는 화면을 보면서 조종할 수 있는 모니터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