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겸허"(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못 할 수도 있구나’라는 사실을 인정할 때가 진짜 시작이라고 생각하거든요.종종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좌절하는 사람이 있는데,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최고가 아니어도 삶에 큰 지장이 없고, 할 수 있는 일이 수두룩합니다. 오히려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더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난 뒤 다윈은 그 지구의 중심에 인간이 있다는 생각마저 앗아갔다. 이제 인간은 철저히 겸허해질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됐다. 그래서 다윈의 종의 기원은 마르크스의 ‘자본론’,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과 더불어 인류사에 혁명을 몰고 온 책으로 꼽힌다. 그는 이미 과학자의 범주를 넘어 혁명적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 기술이 그려낼 세상을 향한 모험은 이미 시작됐으므로, 겸허한 자세로 새로운 가치관과 윤리관을 싹 틔우고 공유해야 한다는 얘기다. 201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올해의 단어로 ‘탈 진실(post-truth)’을 선정했다. 탈 진실이란 ‘객관적 진실보다는 개인의 믿음이나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우리가 배양할 수 있는 세균의 종류가 지구 전체 세균의 10%도 채 안된다는 사실을 알면 겸허한 마음으로 포기하게 된다. 극지에서 열수분출공까지 세균의 서식지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메타게놈’ 방식을 사용했다. 메타게놈 방식은 쉽게 말해 시료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게놈을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혼란스럽게 가로지르는 작은 흙길 중 하나에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와 그의 아내 루시의 겸허한 묘비가 세워져 있었다. 1845년 5월 4일에 태어나 1879년 3월 3일에 작고했다는 글 아래에는 ‘나는 존재하지 않다가 태어나서 사랑하고 조금 일한 후에 없어졌고, 슬퍼하지 않는다’라는 조용한 시구가 적혀 ...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물고기 연구에 많은 도움을 받았음을 밝혔다. 평범한 소년의 말에도 귀 기울일 줄 아는 겸허한 자세, 이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려는 연구 태도, 자신의 저술이 그와의 공동저작이라는 점을 밝히는 정약전의 공정함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그의 이런 태도는 제자에게 까다로운 실험과 잡무를 ... ...
- 진화론 논쟁 감상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연에 속하며 많은 생물들과 더불어 자연을 구성 하는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는 겸허한 진리 를 말했을 뿐이다.‘종의 기원’의 마지막 구절은 다윈이 생각한 생명과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묘 사한다. “이렇게, 장엄한 생명의 역사는 시작되고 자연 의 힘은 태초에 하나의 호흡으로 세상에그 ...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인간은 자신이 대단한 작품이라고 생각하며 신과 동물 사이에 자신을 끼워 넣는다. 좀 더 겸허하게, 나는 인간이 동물로부터 창조됐다고 믿는다”고 썼다.1838년 9월 다윈은 경제학자 토마스 맬서스의 ‘인구론’을 읽으며 재배식물과 사육동물의 인위선택과 비교되는 자연선택이라는 개념을 ...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과학동아 l2006년 10호
- 가르침을 주면서 흐른다.‘바위도 뚫는 힘을 가졌으면서 한결같이 낮은 곳으로 흐르며 겸허를 가르쳐주고, 둥근 그릇에 담기면 둥근 모양이 되고 네모난 곳에 담기면 네모난 모양이 되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는 지혜를 보여준다. 또 장애물이 나타나도 포기하거나 거스르지 않고 돌아가거나 ...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과학동아 l2004년 03호
- 그렇지만 “생명윤리법이 제정되던 상황에서 배아 복제를 시도한데 대한 비판은 겸허하게 받겠다”고 밝혔다.일부에서 우려하는 인간복제에 대한 생각은 추호도 없었으며 다만 인간 배아 복제와 여기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입증하고자 하는 학문적 욕구와 사명감만 있었다는 것.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