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압력
강압력
위력
폭력
완력
d라이브러리
"
강제력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인자의 영향보다는 외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였다. 기후과학에서 외부
강제력
이라고 표현하는 온실가스나 태양 입사 에너지 등의 변화를 우리가 정확히 안다면 혼돈한 복잡계를 포함하는 기후시스템도 장기간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그는 여기서 더 나아가 여러 요인이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국가 인공지능 윤리기준’에는 알고리즘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이 강조돼 있습니다.
강제력
은 없지만 윤리도 규범인 만큼 이를 근거로 회사에 채용 거절 근거에 관한 설명을 다시 한번 요청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올해 1월엔 한국도 유럽과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자는 내용의 ‘개인정보 보호법 ... ...
[한페이지 뉴스] 비행기 고도 600m만 낮춰도 대기오염 줄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일부 항공기의 비행 고도만 조정해도 비행운에 의한 기후
강제력
을 20%는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과학 및 기술’ 2월 12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21/acs.est.9b0560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생긴지 5시간이 안 되는 비행기구름은 약 4mW/m2였다. 비행기구름 때문에 생긴 권운은 복사
강제력
이 약 38mW/m2나 됐다. 직접적으로 하늘에 내뿜는 배기가스보다도 훨씬 강력한 온실효과를 낸다는 뜻이다. 와일드 박사는 “비행기구름이 주변 대기에 있는 수증기를 최대한 끌어 모아 권운을 만드는 것도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유 교수는 “유엔 산하 기관인 IARC는 탤크의 유해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뿐
강제력
은 없다”며 “따라서 각국은 자국 내 탤크 사용 실태를 조사해 그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Q4 탤크 없이 베이비파우더 못 만드나?탤크가 수많은 제품에 널리 쓰이는 이유는 가격 대비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00만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정작 실험동물의 사육이나 실험 지침에 대한
강제력
을 띤 가이드라인은 최근까지 없었다.농림부가 ‘동물보호법’을 만들어 운영해왔지만 동물실험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빠져있는 상태였다. 농림부 축산국 가축방역과 김문갑 사무관은 “1991년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지구의 온난화가 구름의 변화에 의해 크게 영향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름 복사
강제력
은 주로 구름의 양에 비례하는데,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라 구름의 양이 증가한다면 구름에 의한 냉각효과가 현재보다 커지게 돼 이산화 탄소에 의한 온난화는 둔화될 것이다.이의 반대 경우도 물론 ... ...
'지구 살리자' 기후협약 유명무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비준을 얻으면 국제법상 지위를 획득 하는데, 94년 8월말 현재 90개국이 서명을 했음에도
강제력
을 갖지 못한 상태다(의무사항은 모든 국가가 준수해야 할 일반의무사항과 선진국과 동구권국가에 추가 적용되는 특별의무사항으로 나뉨).이 협약의 준수를 가장 강력히 주장하는 나라는 태평양 연안의 ... ...
비행기추락·컴퓨터교란 하이테크 시대의 골치거리, 전자스모그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가전제품 업자들이 불필요한 전자파를 규제한 BS6527에 따르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강제력
은 없다. 일본의 경우는 86년 우정성에서 '불필요한 전파문제' 간담회를 개최, 대응책을 검토한 바있다. 이 간담회에서는 불필요한 전파를 내는 측과 장애를 받는 측, 양측의 체계적인 대책을 취하는 것과 EMC관련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미국표준연구소(ANSI)의 1966년 기준이었다. 이것은 정식 환경기준과는 달리 법적
강제력
이 없었다. 이 기준은 '인체의 마이크로파(10메가 헤르츠~1백기가 헤르츠)에의 노출은 출력밀도의 평균으로 1㎡당 1백W로 제한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신체에 장해를 주는 출력밀도의 최저치는 1㎡당 1천W라는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