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k"(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07
- 맞지 않는 것은 집단면역의 혜택에 기생하는 이기적인 행동임을 알아야 한다.박수형_park3@kaist.ac.krPOSTECH 분자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05
-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is Park Geun-hye)”라고 입력해 봤습니다. “박근혜가 누구지(Who is Park Geun-hye)?”, “한국의 대통령은 무엇이지(What is the president of South Korea)?”라고 두 개의 질문을 만들었네요. 그리고는 구글에서 위키피디아의 박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05
- foundation for multi-scale regular vegetation patternsSliding Rocks on Racetrack Playa, Death Valley National Park: First Observation of Rocks in MotionRole of Huge Geometric Circular Structure ...
- [수학뉴스] 유전자도 꿰어야 보배~!수학동아 l201506
- 부분이 망가지면, 병이 걸리는지도 살펴봤습니다. 파킨슨병의 경우 중뇌의 흑질 조직과 PARK2 같은 유전자와 연관이 깊었습니다.연구팀은 세포조직회로를 이용해 질병의 정확한 원인을 알고 그에 맞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유전학’ 4월 2 ...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과학동아 l201210
- 주위에 인기척 하나 찾기 어려운 이 곳은 캐나다 알버타주 공룡주립공원(Dinosaur Provincial Park). 7500만 년 전 이 땅을 지배했던 이들이 발 밑으로 보인다. 수없이 드러나 있는 뼈 화석의 주인은 바로 센트로사우루스. 망치, 정, 브러시라는 다소 원시적(?)으로 보이는 도구로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 ...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과학동아 l201102
- 개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10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라고 1월 18일 밝혔다.지질공원(Geopark)이란 지질학적 공원(Geological park)이라는 뜻으로 지질 다양성과 고고학, 역사, 문화적 가치를 중시한다. 희귀한 자연적 특성과 지구과학적 가치를 갖춘 특정 지역의 지질이나 지형을 갖춘 지역이 후보로 꼽힌다. ... ...
- Best Scientific Inventions in 2010과학동아 l201101
- stripsin roadbeds that magne tically transfer energy to battery-powered vehicles above.The prototype, at an amusement park in Gwacheon, just south of Seoul, is the first system in the world lik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수학동아 l201011
- 느껴졌는지 모른다. 이날은 9학년 학생들 앞에서 한국에서 온수학교사‘미스 박(Miss Park)’이라고 소개한 뒤, 담당선생님을 보조하며 학생들의 수학 풀이를 돕고 있는 중이었다. 알고 보니 학생들은 선생님을 티처(teacher)’ 고 부르지 않고‘미스터(Mr)’ ‘미즈(Ms)’라는 존칭과 함께 선생님의 성을 ...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과학동아 l201010
- 재난과 질병 vs. 은폐와 거짓탈은 ‘덧보기’라고도 불린다. 본래의 얼굴에 덧씌우는 다른 얼굴이라는 뜻이다. 한자어로는 한국과 일본은 ‘가면(假面)’을, 중국은 ‘면구(面具)’를 주로 사용한다. 탈이란 말은 ‘일에 탈이 생겼다’, ‘배에 탈이 났다’, ‘재주가 많은 것도 탈이 되나’, ‘무 ...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과학동아 l201005
- “전자는 외부 자극 없이도 자발적으로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하지만 특정한 빛으로 전자를 유도하면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레이저의 새벽은 아인슈타인이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함께 설명하고 싶어 논문에 제시한, 한 낯선 개념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는 1917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