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k"(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투명인간은 맹인이다 눈과학동아 l200602
- 안구의 벽은 세 층으로 이뤄져 있다. 가장 속층은 망막(그물막)이고, 이곳에는 많은 신경세포들이 그물처럼 모여 있다. 이 신경세포에는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자극을 담는 수용체가 있다. 망막은 검은빛깔인데, 이것은 망막에 맺힌 빛이 반사돼 망막의 다른 곳을 자극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만일 ... ...
- 목뼈가 360도 돌아간다고? 관절과학동아 l200601
- 관절은 뼈와 뼈가 만나는 곳을 말한다. 관절은 종류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도 있고, 움직일 수 없는 것도 있다. 관절은 뼈 사이에 끼어 있는 조직의 종류에 따라 섬유관절, 연골관절, 윤활관절로 분류한다. 섬유관절은 뼈와 뼈를 섬유조직으로 연결한다. 섬유조직은 질기기 때문에 뼈와 뼈를 ... ...
- 정자의 든든한 후원자 전립샘과학동아 l200512
- ‘프라스트’(prost)는 prostate, 즉 전립샘을 뜻한다. 전립샘은 방광 아래에 요도를 감싸고 있는 분비샘이다. 전립샘에 질병이 생겨 비대해지면 요도를 눌러 소변을 보기 힘들어진다. 전립샘 비대는 주로 40대 이상의 남성에게 잘 생긴다. 이를 진단하기 위해 직장검사를 주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다. 직 ... ...
- 4개 중 벽이 가장 두꺼운 방은? 심장과학동아 l200511
- 논리는 모든 생활에서 필요하다. 특히 공부할 때는 더 필요하다.포유류의 심장은 2심방 2심실로 돼있다. 왼심실은 왼심방보다 혈압이 높기 때문에 혈액을 더 뿜어낸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모든 심방과 심실에서 뿜어내는 혈액의 양은 같다. 왼심실에서 왼심방보다 혈액을 더 뿜어낸다 ... ...
-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과학동아 l200510
-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기관은? 정답은 간이다. 갈비뼈에 덮여서 몸 오른쪽에 치우쳐 있는 간은 무게가 약 1.5kg에 달한다. 색깔은 검붉은 빛이다. 간은 역삼각뿔 모양이다. 위를 향해 있는 면은 비교적 평평하다. 간의 위쪽에 가로막을 경계로 오른쪽 허파와 심장의 일부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간 ... ...
- 전쟁이냐 평화냐, 그것이 문제로다 신경계과학동아 l200508
-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뉜다. 중추신경계에는 뇌와 척수, 말초신경계에는 뇌신경과 척수신경이 있다. 뇌는 크게 대뇌, 소뇌, 뇌줄기로 구성돼 있다. 대뇌는 느낀 감각을 경험에 비춰 분석한 다음 알맞은 운동을 시킨다. 소뇌는 대뇌에서 시킨 운동이 제대로 이뤄지도록 돕는다. 사람 ... ...
- 내 이빨은 모두 몇 개일까? 치아과학동아 l200507
-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어 반포한 때는 몇 년인가? 필자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왜 만들었는지 깨닫는 게 중요하지 연도를 외우는 건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해부학 시험에서도 숫자를 외워서 쓰는 문제는 거의 없다.그러나 기본적인 숫자는 외워야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치아의 개 ...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과학동아 l200506
- 정맥은 몸의 각 부분에서 혈액을 모아 심장으로 보내는 혈관이고, 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온몸에 보내는 혈관이다. 동맥은 정맥보다 혈압이 높기 때문에 동맥이 찢어질 경우 출혈이 더 심하다. 동맥은 정맥보다 굵고, 혈관 벽이 두꺼우며, 피부 속 깊이 있다.일부 동맥은 피부 바깥쪽에 가까이 ...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과학동아 l200505
- 물의 관절은 사람과 구조가 비슷하지만 보이는 위치가 달라서 그 이름을 오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새의 다리나 기어다니는 짐승의 다리를 보면 무릎관절이 사람과 달리 뒤로 볼록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발목관절이며 무릎관절은 그보다 위에 있다. 즉 새나 기어다니는 짐승들은 발 ... ...
- 철분이 부족해? 선짓국 먹어봐! 적혈구과학동아 l200504
- 혈액은 심장에서 몸의 각 부위로 산소, 영양분, 호르몬을 운반하고, 각 부위에서 심장으로 이산화탄소, 노폐물을 운반한다. 혈액은 세포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액체인 혈장으로 이뤄져 있다. 혈액은 태아 때는 주로 간과 비장에서 만들어지고, 출산 이후부터는 골수에서 만들어진다.적혈구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