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군"(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1869년 개기일식 때의 관측 결과에서 비롯됐다. 당시 미국 다트머스대의 찰스 영 교수와 해군 장교 윌리엄 해크니스는 개기일식을 관측해서 코로나의 분광스펙트럼을 얻었다. 그런데 분석 결과에서 530.3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의 방출선이 확인됐다. 각각의 원소는 포함하고 있는 전자에 고유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07
- 바꿨다.“1588년, 규모로나 화력으로나 스페인의 무적함대보다 훨씬 빈약했던 영국 해군이 무적함대를 무찔렀는데, 조수와 바람이 그 승리에 힘을 실어주었다. 정복왕 펠리페 2세는 한탄했다. “나는 인간을 물리치라고 무적함대를 보낸 거지, 신이 보내신 바람과 파도에 맞서라고 한 게 아닌데.””(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06
- 해군은 배를 이용할 겁니다. 따라서 공군은 하늘 위에서 안전하게 조달할 방법을, 해군은 파도나 물결의 세기 등을 고려해 조달할 방법을 찾아야겠지요.장교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미래에 군의 리더가 되려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 능력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이런 능력을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06
- 2만5000명을 영국에 상륙시켜 점령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해군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했고, 전 세계의 맹주로 떠올랐다.2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 전선에서 지지부진했던 연합군은 독일군이 주둔해있던 프랑스 북부의 노르망디 지역에 기습적인 상륙 작전을 ... ...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해구는 깊이가 10km가 넘는 바다다. 1960년, 스위스의 해양학자 자크피카드와 미국 해군 중위인 돈 월시는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이곳의 바다 밑에 도착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 ...
- [가상 인터뷰] 밤마다 노래하는 미드쉽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미드쉽맨이라고 부르는데, 거기에서 따온 이름이지요. 제 몸에 그려진 반짝이는 무늬가 해군장교 후보생 옷에 달려 있는 단추와 비슷하게 생겼거든요.저는 노래하는 물고기로 유명해요. 수컷들이 암컷들을 유혹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지요. 그런데 이 노래 소리가 사람들의 귀에는 거슬렸나 봐요.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12
- 하는 이유다.먼저 진실을 밝히는 과정.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이 침몰했다. 군 장병 46명이 희생됐다. 다국적 민군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 결과가 발표됐지만 때 아닌 열역학 논쟁이 벌어졌다. 결정적 증거로 제시된, ‘1번’이라는 글자가 쓰인 어뢰추진체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10
- 사람들도 3000여 명에 이른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주요 군사기지로 이용됐던 일본 해군기지는 축 곳곳에 전쟁의 잔해를 남겼다. 태평양과학기지가 있는 웨노 섬에는 축에 들어오는 배를 감시했던 등대가 남아있다.“산호로 둘러싸인 축의 지형 특성상 배가 들어올 수 있는 곳은 저기 보이는 작은 두 ...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06
- 미국 해군수중전투연구센터의 제스 벨든 박사와 미국 유타 주립대 기계항공우주공학과의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길다란 수중음향 감시시스템(SOSUS)을 설치해 구 소련의 잠수함이 내는 소리를 들었다. 미 해군은 1991년 이 자료의 일부를 과학자들에게 공개했고, 덕분에 수중음향을 과학 연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물 속에서 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지구의 다양한 현상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