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군"(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05
- 자주 일어나는 걸까?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 날과 관련된 이야기는 많다. 영국 해군의 배가 출항했다가 통째로 사라져버렸다는 이야기도 있고, 1898년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업가가 13일의 금요일에 자신을 포함한 13명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한 뒤 살해됐다는 이야기도 있다.진짜 13일의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2
- 훈련 등 고난이도 훈련을 반복한다.대원들은 서로에게 목숨을 의지할 수밖에 없다. 해군 수중과학수사대의 이호성 대위는 “이기적인 사람은 못한다”고 말했다. 다이버는 물에서 늘 두 명씩 짝을 지어 다닌다. 한 명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한 명이 해결해주기 위해서다. 김근원 상사는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다른 종으로 진화한다.’다윈이 진화론의 기초를 세울 수 있었던 건 젊은 시절 5년 간 해군측량선인 비글호를 타고 세계 일주 항해를 한 덕분이에요. 그는 남아메리카에서부터 남태평양의 여러 섬들과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 전세계를 항해했어요. 그리고 각 지역의 지형과 지질은 물론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10
- 짜인 소재의 기하학적 구조 덕분이죠.군집드론, 거리와 각도로 새떼처럼 날다최근 미국 해군은 여러 대의 드론을 한번에 투입하는 군집드론 시스템 ‘로커스트’를 발표했습니다. 로커스트는 1분 안에 드론 30대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발사된 드론은 마치 메뚜기떼처럼 무리 지어 비행합니다. 이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10
- 줄 몰랐다”며 “한국에 돌아가면 주변 사람들에게 많이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일본 해군은 축주에서 전쟁 마지막까지 연합군과 싸웠다. 축주의 자랑거리인 거대한 ‘환초’가 당시 연합군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막는 방패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환초는 거대한 고리 모양의 산호초로, 바다에 우뚝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07
- 한날한시에 운명했다. 노벨경제학상을 안겨 준 게임이론내쉬는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해군 연구 프로젝트에 여름방학 인턴으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암호해독 능력을 인정받아서 그 뒤에도 틈틈이 참여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11년 미국 국가보안국(NSA)이 공개한 자료에는 내쉬가 195 ... ...
- [과학뉴스] 풀리지 않는 비밀, 프랭클린의 탐험과학동아 l201505
- 해군 잠수부들과 해양 고고학자들이 170년 전 캐나다 북극 지방에서 난파된 영국 군함 에레버스(Erebus)호를 조사할 예정이다. 2014년 9월 잔해가 발견된 에레버스호와 또 다른 군함인 테러(Terror)호는 1845년 존 프랭클린 경의 전설적인 북서 항로 탐험 중 사라졌다.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01
- 믿음에 보답하듯 실력이 뛰어난 ‘전기 기술자’로 성장했다.그러다 스무 살 무렵 해군에 입대했는데, 무전병으로 근무하면서 삼각함수, 미적분, 화학, 물리학 등 평소 관심 있었던 수학과 과학 분야를 체계적으로 공부할 기회를 얻었다. 타고난 손기술과 체계적인 교육이 만나니 실력은 점점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11
- 전혀 모르고 있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는 편이 낫지 않을까? 현재 미국 해군연구소는 이 공식을 개선해 더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테러 예측하고 테러리스트 잡는다! 테러 막는 수학수사대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Part 2. 테러리스트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09
- 귀신같이 활용해 명량해전에서 승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과 해군사관학교가 명량해전 당시의 조류현상을 추측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왜군이 어란진에서 출정한 1597년 9월 16일 오전 6시 30분께, 남해안에서 서해안으로 밀물이 시작됐다. 오전 10시 10분께 해류의 속도는 시속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