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공
d라이브러리
"
진공도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02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여러 줄무늬를 보려면 반드시 진공을 만들고 실험을 해야 한다.
진공도
가 나빠져서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한번만 부딪혀도 여러 줄무늬는 두 개의 줄로 바뀐다.여기서 우리는 아주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1
불렀을 정도다. 잠깐 공부를 하면 꼭 그만큼 공상을 하곤 했다. 우주 공간은 무엇일까,
진공도
에너지가 있을까. 나는 앞으로 이런 것들을 알게 될까. 그렇게 되려면 내 일, 그리고 내년엔 무엇을 해야 할까. 공상의 날개짓은 흥미진진하고 한이 없다.‘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속담이 있다. ‘백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12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어느 조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달리는지 관찰했다. 터널 속
진공도
가 10% 올라갈 때마다 열차의 속도는 시속 15km씩 올라갔다. 그 결과 모형열차가 달리기 가장 좋은 조건은 0.21기압이었다. 이때 시속 514km로 달리는 모형열차는 진공터널에서 시속 684km로 달렸다. 김동현 박사는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09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려면 지표면 대기압의 약 300억 분의 1에 해당하는 3.0×10-8mbar
진공도
를 유지해야 한다. 연구진은 우리별 1호가 떠 있는 1300km 상공 우주 공간과 맞먹는 진공을 무리 없이 만들었다.첫 단계는 무사히 통과했지만, 진짜 고비는 2단계 극저온냉각 시운전 부터였다. 초전도자석은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08
IT(정보기술) 분야의 신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분자나 원자 각각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진공도
의 좋고 나쁨도 중요하지만 진공 환경의 청정도도 중요하다는 말이다.이런 기술은 불순물이 없는 극청정 환경에서라야 실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극청정 진공환경을 만들어내야 함은 물론, 진공상태를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08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어떤 분야에 적용되는가에 따라 필요한
진공도
가 다르기 때문에 진공펌프가 갖춰야 할 조건도 훨씬 다양해졌다. 새로운 진공장비가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는 이유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05
이뤄진다. 이는 물론 다른 불순물이 빛과 반응하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이 정도
진공도
에서는 고체 원자가 쉽게 기체화된다.이는 BEC를 통해 온도를 낮춤으로써 기체 원자를 밀집시키는 방법과 반대다. 온도를 높임으로써 고체 원자가 더 많이 기체화되면 높은 밀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06
현재의 반도체 기술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나노소자의 경우는 더욱 높은 수준의
진공도
가 요구된다. 기체분자 자체가 나노미터 크기이기 때문에 진공 시스템에 잔류하는 기체 분자 한개 한개가 불순물로 작용한다. 나노소자 개발을 위해서는 극고진공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인 것이다커피,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02
유지하지 못한다면 전자는 잔류기체와 충돌하여 소멸된다. 따라서 전자총 내부의
진공도
는 1천억분의 1기압(${10}^{-8}$토르) 이내로 유지돼야 한다. 전자총이 설치된 용기는 내부적으로 초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적으로 8만V의 전압을 견딜 수 있는 통이어야 한다.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자는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02
빛’을 자세히 관찰했던 패러데이는 그 정체를 알지 못했다. 패러데이가 만든 방전관은
진공도
가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음극선 연구에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진 것은 1855년 하인리히 가이슬러가 효율적인 진공펌프를 개발한 이후다.1850년대 말 본대학교의 율리우스 플뤼커는 패러데이보다 높은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