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쥐기"(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04
- 벽개성(충격을 주면 일정 형태로 쪼개짐)이 없고 튼튼하다. 크기도 큰 자갈 만해서 쥐기에 좋다. 숙련이 필요하지만 가장자리에 충격을 주면 날카롭고 긴 곡면 날을 가진 형태(패각상)로 쪼갤 수 있다. 내구성이 좋지만, 날이 무뎌지면 다시 가장 자리를 충격으로 쪼개 다듬어 사용할 수 있다.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01
- 최근 처음으로 상품화했다. 이 의수는 아이림(지난화 참조)보다 훨씬 적은 12가지의 그립(쥐기) 동작밖에 할 수 없지만, 손 끝의 감각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이 환지통을 덜 느끼고 유리나 종이처럼 파손되기 쉬운 물건을 더 잘 잡을 수 있다.뜨겁거나 차가운 감각, 거칠거나 부드러운 감각에도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12
- 코흐 씨는 그동안 비트코인의 가치가 85만 배나 상승해 7억 3000만 원이나 되는 돈을 손에 쥐기도 했다.비트코인은 역사상 최초의 수학적인 화폐!이처럼 전세계가 주목하는 비트코인에는 특별한 점이 있다. 바로 화폐 시스템이 수학을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첨단 전자 화폐의 발행과 운영에 ... ...
- 그 침팬지가 호두를 깨는 법과학동아 l201208
-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3살의 어린 침팬지는 가벼운 망치를 골랐다.망치의 형태가 손에 쥐기 어려운 직육면체일 때는 힘이 센 어른 침팬지들도 가벼운 망치를 골랐다. 단, 과거에 견과류 깨는 법을 사람에게 배운 적이 있는 침팬지는 형태와 관계없이 효율이 높은 가장 무거운 망치를 골랐다. ...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어린이과학동아 l201203
- 근육과 지방의 양을 분석하는 장치랍니다. 팔씨름보다 정확한 악력 측정!기계를 꼭 쥐기만 해도 힘을 측정해 주는 악력 측정기도 전기 저항을 이용한 장치예요. 악력 측정기에는 힘을 주면 형태가 변해서 전기 저항도 달라지는 ‘힘 센서(load cell)’가 들어 있어요. 힘 센서는 힘의 세기에 따라서 ...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과학동아 l201110
- 크기의 물건을 쥘 수 있지. 그리고 우주비행사의 장갑은 매우 두껍기 때문에 공구를 쥐기 불편하지만 내 손은 공구를 쥘 뿐 아니라 더 복잡한 일도 처리할 수 있단다. 우주 환경에서는 내가 사람보다 더 유리한 셈이지.우주로 나가는 대 장정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 나가기 위해 수개월 씩 훈련을 받고 ...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0904
- 못하고 있다. 다만 내공생 과정에서 세포가 엽록체의 활성에 대한 통제권을 확실히 쥐기 위함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런 추측을 지지하는 생명체가 존재한다.1차 내공생 시즌2민물에 사는 아메바의 일종인 폴리넬라(Paulinella chromatophora)는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진핵생물인데 세포 속에 녹색 ...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과학동아 l200903
- 내지는 않고 대신 에너지원인 ATP란 분자가 만들어진다. 먹음직스런 면발을 한 젓가락 쥐기 전에 미국이나 호주 들판 어딘가에서(라면 봉지의 원산지란을 보니 ‘면/소맥분(미국산, 호주산)’이라고 써 있다) 자랐을 밀과 곡식을 영글게 한 태양과 물, 공기를 생각해 본다.라면 봉지도 탄소 ...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과학동아 l200712
- 있었지만, 네안데르탈인은 골격상 비스듬하게 물체를 쥘 수 없었다.비스듬하게 물체를 쥐기 위해서는 골격 외에도 네 손가락을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 필요하다. 사람의 손가락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외재근이 잘 발달해 주먹을 쥔 채 검지와 중지만 펴거나 손가락을 하나씩 꼽을 수 있다. ... ...
- 미디어, 이제는 느껴라과학동아 l200604
- 작지만 대형 자동차 경주용 게임기의 움직임을 그대로 전달한다. 연구팀은 손에 쥐기만 하면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해 병원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원격의료진단기기’도 개발했다.지금까지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작품으로는 ‘사이버 가든’이 있다. 창문이 없는 아파트 벽면에서는 프로젝터에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