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판"(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9
- 번째 질문 열손가락, 개성 넘치는 이유? 컴퓨터 자판을 칠 때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손가락을 보면 문득 신기해집니다. 어쩜 다섯 손가락 모두 길이도 다르고 두께도 다르고 위치도 다를까요? 똑같은 손가락 세포를 검지부터 약지까지 개성 있게 바꾸는 발달 인자는 무엇일까요? 배아 세포가 특정한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08
- 3/pnas.1000162107). 연구팀은 피부에 상주하는 미생물이 개인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노트북 자판 위에 있는 피부 미생물을 통해 누가 그것을 만졌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연구팀은 면봉을 이용해 세 명의 개인 컴퓨터 키보드에서 평균 1400개 이상의 미생물 리보솜RNA(rRNA)를 채취해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01
- “나는 수리우주론을 연구하는 이론가이며 매우 집중이 필요한 연구를 하고 있으니, 자판 두드리는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방문을 닫아주세요”였다는 에피소드는 이런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하지만 연구소 밖을 나서면 파리의 낭만을 흠뻑 느낄수 있습니다. 연구소 바로 옆에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03
- 휘리릭 소리가 나면서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는 겁니다. 키보드 같은 기계적인 버튼은 자판 순서를 외우면 보지 않고도 원하는 것을 누를 수 있습니다.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어디를 눌러야 할지 일일이 쳐다봐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용자가 정확히 터치했다고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03
- (Proverbially, it’s where the heart is)”이라고 물었을 때 왓슨은 ‘Home’이라고 정답을 맞혔다(자판에 Home’키가 있고, ‘Home is where the heart is’라는 구문이 있다).인간 출연자가 쉽게 맞춘 것을 왓슨이 틀리기도 했다. ‘미국 도시’라는 제시어를 주고 “이 도시의 가장 큰 공항은 2차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01
- H의 왼쪽 아래 부분을 누른 경우가 많다면, B키의 크기를 오른쪽 위로 확장한다. 즉 실제 자판 모양은 ‘그림 1’과 같이 우리가 알고 있는 모양이지만, 실제로 입력은 ‘그림 2’와 같이 된다. 빠르고 정확한 자동 수정 기능과 자동 완성 기능?자동 수정이나 자동 완성 기능의 도움을 받는다면 ... ...
- 물놀이 테마파크 ‘ 가리비안 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6
- 황당한 썰렁홈즈 앞에 어느새 가리비 또가리가 나타나 말했다.“가리비안 베이는 자판기도 특별합니다. 자, 여기 손님 사진이 있죠? 이 사진들을 순서대로 놓아 보세요. 그러면 음료수가 공짜! 못 풀면 못 먹는 걸로~.”썰렁홈즈는 가리비안 베이 홍보대사?“가리비안 베이 홍보대사 미션을 모두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12
- 특히 글자를 쳐야 하는 키보드의 경우에는 하드웨어가 사라지더라도 빛으로 책상에 자판 모양을 쏘아 손가락으로 두드려야 할 것이다.게다가 아직까지 터치스크린 없이 허공에서 이뤄지는 제스처는 한 번에 입력하기가 쉽지 않다. 같은 동작 또는 같은 말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거나, 전혀 다른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과학동아 l201505
- 파킨슨 병 발병을 조기에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파킨슨 병 환자가 자판을 누르는 패턴이 불규칙하다는 데 착안했다. 정상인은 눌렀다 뗄 때 걸리는 시간이 일정한 반면, 파킨슨병 환자는 0.1초 정도씩 오차가 생겼다.비슷한 방법으로 미국 IT기업 애플에서도 지난 3월 파킨슨 병을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05
- 가장 많이 쓰는 글자 중 하나인 ‘a’ 같은 알파벳은 오른쪽으로 옮겨야겠지만, 이 자판은 계속 쓰이고 있다. 더 편하고 효율적인 기술규격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과거 기술에 익숙한 기존 사용자들은 이를 거부하기 때문이다.아날로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도 디지털에 끈질기게 저항했다. ‘10/10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