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판"(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수학동아 l200911
- 휴대전화야. 휴대전화를 보면 한글 자모와 숫자, 기호가 한 자판에 표시돼 있지?휴대전화 자판을 암호에 맞게 누르면 문자를 입력하는 규칙에 따라 암호의 정답이 나타나.7#332104370 = 썬그라스1658928*33*8 = 곰인형833955**97#049 = 엠피쓰리8*3*8766 = 향수이 암호는 특정 회사의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과학동아 l200910
- 모음을 0.1초도 안 되는 미묘한 시간차이로 두드릴 수 있는 정교한 명령이 오갈 것이다.글자판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왼쪽 위에는 로마자가, 오른쪽 아래는 한글이 표시돼 있다. 이 상황만큼이나 오늘날 문자세계에서 영어와 프랑스어, 독일어 등 여러 글의 기본이 되는 로마자와 한글이 알파벳글자의 ...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과학동아 l200909
- 하죠. 과제물이나 보고서를 준비할 때 머릿속으로 정리하려면 뒤죽박죽이 되지만 컴퓨터 자판에 손을 딱 올려놓고 나면 그때서야 차곡차곡 문장이 돼 나오는 경험, 한번쯤은 했을 겁니다.”이 교수는 이런 현상이 “마음이 인공물에 연결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마음? 그거 뇌의 작용 ... ...
-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과학동아 l200907
- 기껏해야 약 5분. 달이 태양에 접근하기 시작하면 긴장은 극도에 달한다. 셔터와 컴퓨터 자판을 누르는 손길이 점점 바빠진다.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순간, 갑자기 눈앞이 정말 말 그대로 캄캄해진다.원정관측을 다녀온 천문학자들은 일식이 일어나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한다. 짧은 시간 동안 ...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과학동아 l200905
- 돕거나 고성능 로봇 눈을 개발하는 데도 쓰일 전망이다. KIST에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 자판 하나 크기에서 점자를 읽을 수 있는 햅틱 장치를 제작했다. 9개의 압전 모터가 들어 있어 점자에 따라 9개의 점이 번갈아 돌출하는 원리다. 이 장치가 휴대전화에 장착된다면 시각장애인도 문자 메시지를 ...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과학동아 l200905
- 확실하게 대장암을 치료하는 RNA 앱타머를 완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컴퓨터 자판을 한글모드로 지정한 다음 ‘RNA’를 입력하면 ‘꿈’이라는 단어가 된다. 정 교수가 RNA 앱타머로 대장암을 퇴치하겠다는 꿈을 이루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본다.정선주 교수팀이 개발하고 있는 대장암 억제제 RNA ...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904
- 쓰이는지 궁금해!예전에는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조작법을 익혀야 했어요. 키보드 자판의 배열을 익혀 글자를 쳐야 했고, 손으로는 마우스를 움직여 아이콘을 클릭해야 했죠.하지만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면 특별한 조작법을 익히지 않고도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요. 사람의 자연스러운 ...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과학동아 l200810
- 한다. 이제는 보기 어려운 수동식 타자기가 테이블 위에 덩그러니 놓여있다. 관람객이 자판을 두드려 글자가 찍히는 순간 종이 위에 그려진 그림인 줄로만 알았던 벌레가 꿈틀거리며 살아나 글자를 먹어치운다. 오스트리아의 크리스타 좀머러와 프랑스의 로랑 미노뉴의 공동작품인 ‘생명을 쓰는 ...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과학동아 l200806
- 책장을 넘기듯 튕기는 동작(Flick)으로 이미지 목록을 훑어볼 수 있는, 기존 휴대전화 자판의 방향키를 조작하는 것보다 빠르면서도 역동적인 UI를 도입했다. 엄지와 검지를 벌리거나 좁혀서 이미지 크기를 조작하는 기능도 기존 휴대전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진전이었다.새로운 UI를 탑재한 ... ...
-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과학동아 l200803
- 주려나보다. 동그란 전구는 파리에게 반딧불이 같이 환한 빛을 선물했다. 네티즌1키보드 자판으로 만든 코브라가 입을 쩍 벌리고 있다. 그 아래 놓인 수많은 마우스들도 험악한 분위기다. 익명성과 댓글로 상징되는 네티즌의 공격성을 비판한 작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1세기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