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뭇가사리"(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달 만에 몸집이 4배로 늘어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빨라요.종이를 ... ...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표면이 굳거든요.준비물 : 망고주스, 물, 알긴산, 염화 칼슘, 숟가락 우유맛 계란 흰자우뭇가사리에서 얻을 수 있는 한천은 물에 넣은 뒤 온도를 85℃ 이상으로 높이면 녹는 답니다. 그리고 다시 32~40℃ 정도로 온도를 낮추면 젤리 형태로 굳지요.준비물 : 한천, 우유, 프라이팬 바삭하고 부드러운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9
- 커다랗게 자라는 갈조류에서 요오드나 칼슘 같은 영양소를 얻기도 해요. 홍조류인 김, 우뭇가사리 등은 주로 깊은 바다에서 자라지요. 직접 먹기도 하고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 유화제의 원료로 쓰인답니다. 해조류박람회 곳곳을 다니며 열심히 취재하다 보니 어느새 점심시간!으아~, 배고프다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04
- 쓰고 있는 폴리넬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한천을 비롯해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우뭇가사리(홍조류)의 게놈 분석을 한국해양연구원 이정현 박사팀과 진행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그의 은사인 부성민 교수팀과 함께 해 더 뜻 깊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해조류인 미역의 게놈을 ...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108
- 있는지 관찰했다. 그들은 다이빙복을 입고 바다에 직접 뛰어들기도 했다. 그 결과 미역과 우뭇가사리, 감태 등 해초가 풍부했던 바다 밑이 전에는 볼 수 없었던 산호더미로 덮이고 있음을 발견했다.이미 우리 바다는 1990년대 초부터 해조류가 사라지는 현상(갯녹음)에 몸살을 앓아왔다. 갯녹음이 ...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과학동아 l200805
- 무성세대에 같은 크기와 같은 모양의 식물체가 있는 것을 말하며, 갈파래·파래·우뭇가사리 등 해조류에서 볼 수 있다조류의 포자에는 4개의 편모를 가지고 휴지기 후에 곧바로 발아하는 무성포자와, 두 편모를 갖고 다른 모체에서 나온 비슷한 형상의 포자와 만나면 합쳐져(接合) 1개의 접합자를 ... ...
- 만능종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0805
- 방법이 개발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충남대 임산공학과 서영범 교수가 김, 우뭇가사리 같은 홍조류로 종이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홍조류에는 홍조섬유가 밀집돼 있어 목재에 비해 저온(80~100℃)에서 섬유를 쉽게 추출할 수 있고, 홍조섬유 자체가 흰색이어서 따로 표백할 필요도 없다 ...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과학동아 l200708
- 무성세대에 같은 크기와 같은 모양의 식물체가 있는 것을 말하며, 갈파래·파래·우뭇가사리 등 해조류에서 볼 수 있다조류의 포자에는 4개의 편모를 가지고 휴지기 후에 곧바로 발아하는 무성포자와, 두 편모를 갖고 다른 모체에서 나온 비슷한 형상의 포자와 만나면 합쳐져(接合) 1개의 접합자를 ...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과학동아 l200612
- 무성세대에 같은 크기와 같은 모양의 식물체가 있는 것을 말하며, 갈파래·파래·우뭇가사리 등 해조류에서 볼 수 있다조류의 포자에는 4개의 편모를 가지고 휴지기 후에 곧바로 발아하는 무성포자와, 두 편모를 갖고 다른 모체에서 나온 비슷한 형상의 포자와 만나면 합쳐져(接合) 1개의 접합자를 ...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과학동아 l200602
- 무성세대에 같은 크기와 같은 모양의 식물체가 있는 것을 말하며, 갈파래·파래·우뭇가사리 등 해조류에서 볼 수 있다조류의 포자에는 4개의 편모를 가지고 휴지기 후에 곧바로 발아하는 무성포자와, 두 편모를 갖고 다른 모체에서 나온 비슷한 형상의 포자와 만나면 합쳐져(接合) 1개의 접합자를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