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d라이브러리
"
불확정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
과학동아
l
201707
현상이고, 둘째는 양자의 속도와 위치를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
불확정
성 원리’다. 여기에 둘 이상의 양자가 서로 특성을 공유하는 ‘양자얽힘’ 현상까지 더해진다. 이를 통한 양자암호통신은 도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완전한 방패 기술로, 나아가 일정 거리 내에서 정보를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6
응축체는 입자들 간의 척력으로 안정적으로 지탱된다. 덕분에 상태를 유지하면서
불확정
성 원리가 허용하는 한계 안에서 입자들의 위치와 운동량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그런데 이런 특성이 이용되는 의외의 응용분야가 있다. 우주 탄생에 관한 인플레이션 이론이나 블랙홀 증발의 원리인 호킹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
수학동아
l
201703
하나를 정확히 측정할수록 나머지 하나는 불확실해진다. 바로 양자역학을 지배하는 ‘
불확정
성 원리’ 때문이다.양자역학이 나오는 데 큰 역할을 한 에르빈 슈뢰딩거.슈뢰딩거 방정식을 만든 공로로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양자역학은 확률의 과학이다. 모든 게 결정이 됐던 기존의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01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제 비가환 시공간에서는
불확정
성 원리가 적용된다. 양자역학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개념이 고전적인 영역에서만 정의되듯, 창발하는 시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개념도 거시적인 세계에서만 유의미하게 정의된다. 미시세계에서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04
양자우주론에는 누구나 인정한 특별한 공식이 아직 없다(후보만 많은 상황이다).이는 ‘
불확정
성’이라는 양자역학의 본질과 관련이 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입자의 운동량과 위치를 둘 다 정확히 아는 건 불가능하다. 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행위가 다른 물리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시간과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2
‘초소형화’였다. 그러나 그릇이 너무 작아지다 보니 양자역학의 세계로 들어왔고,
불확정
성 원리를 만나게 됐다. 이는 컴퓨터가 0과 1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0과 1의 정성적 차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컴퓨터에서 이런 성질은 치명적인 실패다. 하지만 1982년 리처드 파인만이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11
Anti-commutation Relation’의 약자인데, 양자장론에서 페르미온들의 일종의 ‘하이젠베르크
불확정
성’을 내포하는 식이다. 이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은 정의의 간단한 적용인 다음 식들로부터 따르는데, 각자 한 번 확인해 보도록 강하게 권한다. d차원 클리퍼드 수 체계란 클리퍼드 곱함수들의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1408
재미있게도 여기서 영향을 받은 하이젠베르크가 다시금 양자역학을 집대성하는
불확정
성 원리를 발표하지요.이처럼 보른은 양자역학의 물길이 막힐 때마다 나타나 물꼬를 틔어 준 위대한 수학자입니다. 그는 양자역학 기초를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 195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습니다. 양자역학의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08
이들의 실재성 역시 알파 센타우리에서의 관측결과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불확정
성원리에 의하면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알 수 없다. 위치나 운동량을 측정하는 행위가 서로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이 둘은 실재가 아닌 것이다. 하지만 지구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실재성 여부는 알파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과학동아
l
201407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보어의 상보성 원리’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였다.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1925년 발표된 루이 드브로이(1929년 노벨물리학상)의 이론에 기반을 뒀다. 드브로이는 프랑스의 제5대 브로이 공작인 빅토르 드브로이의 둘째 아들이었다. 제1차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