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관
d라이브러리
"
배수관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
수학동아
l
201501
컸다. 또한 오븐 안쪽에 전자기파를 쏘는 전자관을 물로 식히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배수관
시설이 필요했다. 게다가 가격이 지금의 가치로 5000 달러(약 550만 원)로 비싸서 가정에서는 구입할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하지만 냉동식품을 빠른 시간 안에 해동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레스토랑이나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4
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리면 저주파가 생겨나요. 다른 소리와 달리 저주파는 벽과 천장,
배수관
등을 타고 퍼지기 때문에 소리가 멀리까지 크게 울리지요. 예를 들면 7층에서 나는 소음이 6층뿐 아니라 멀게는 3층까지 들릴 수도 있어요.소음진동을 자주 겪으면 불쾌할 뿐만 아니라 두통이나 어지럼증도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
과학동아
l
201308
화초를 심는다. 나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물도 현지에서 생산했다. 달의 극지역까지
배수관
을 설치한 뒤 극지 얼음을 녹여 물을 조달했다.달 지하의 흙속에서 물을 추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달 지하 흙을 가열하면 흙속의 물 분자들이 기화한다. 기화한 물을 냉각해 정수하면 물을 얻어낼 수 있다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10
느려져 마찬가지로 관이 막힌다. 따라서 물의 속도에 맞춰 관의 지름과 기울기를 정한다.
배수관
에 흐르는 물의 속도는 1.2m/s가 적당하며, 최대 2.4m/s, 최소 0.6m/s이어야 한다. 물의 수심은 관의 지름에 50~70%가 돼야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주어진 표에서 물의 속도를 1.24m/s로 정하면 관의 지름은 20cm,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학동아
l
201110
변기통 중앙에 모이면 변기 아랫부분에 있는 트랩은 물에 잠기고, 물에 대기압이 작용해
배수관
을 따라 물이 흘러간다. 관에 물이 꽉 차면 오물이 하수구로 빠져나간다.배설물이 모두 관을 빠져나가면 변기에 깨끗한 물이 채워진다. 물통의 수압이 급수관의 수압과 같아지면 부자가 다시 정해진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10
느려져 배설물이 멈춰설 가능성이 크다” 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초절수 변기에 맞는
배수관
이 설치되지 않는 한 문제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이펀 방식의 변기는 베르누이 정리로 절수한계를 계산할 수 있다” 며 “최소 5.8L의 물을 이용해야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고 말했다. 수세식 ... ...
로드킬, 환경 오염 없는 경춘고속도로
과학동아
l
200909
작은 동물이
배수관
에 빠질 경우 빠져나가지 못해 굶어 죽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배수관
옆으로 경사도 30°에 폭 20cm의 탈출로를 설치했으며, 바닥은 작은 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 처리를 했다.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지나는 만큼 로드킬(동물이 도로에 나왔다가 차에 치여 죽는 사고을 미리 ... ...
물을 자급하는 도시를 건설하라
과학동아
l
200903
빗물에 섞여 있는 나뭇잎이나 쓰레기처럼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 밖으로 배출한다.
배수관
의 끝 부분과 물탱크 사이에는 또 다른 필터를 설치한다. 여기에는 오염물질을 가라앉혀서 제거하는 침전형 필터, 물이 필터 내부를 돌며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분리하며 제거하고 빗물만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있는 도시에선 똥과 오줌을 처리하는 문제가 그야말로 큰일이었죠. 그 때는 집 안에까지
배수관
을 설치할 기술력이 없었거든요.”그럼 혹시 길거리에 …?“그래서 사람들은 오늘날의 베란다와 비슷한 돌출된 창을 설치했어요. 창의 바닥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도랑이 흐르고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1
생태계가 다양 해지고 살아 있는 강이 되지요. 하지만 사람들은 편의를 위해 둑과
배수관
을 만들어 물이 흐르는 길을 막았습니다. 슈프레발트도 마찬가지였지만 물고기들이 지나갈 수 있도록 계단식 어도(물고기길)를 만들고 수로도 넓히는 등 물이 잘 흐르도록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슈프레 강에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