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lost
roast
d라이브러리
"
로스트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성 짱! 동물들이 모인 LOST VALLEY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0
한 곳에 두면 어떻게 될까요?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잡아먹지 않을까요? 놀랍게도
로스트
밸리에는 초식동물인 코뿔소와 육식동물인 치타가 함께 살아요. 코뿔소는 초식동물이지만 무게가 2500㎏나 나갈 만큼 육중하고, 코끝에 단단하고 커다란 뿔이 있어요. 시력이 좋지 않아 낯선 물체가 다가오면 ... ...
다산의 상징은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낳은 새끼에게 다정하게 입을 맞추며 애정을 과시했답니다.장순이는 사파리월드에서
로스트
밸리까지 계속 ‘생태형 사파리’에서 살았기 때문에 건강한 임신 기간을 보낼 수 있었어요. 또 남편 ‘장다리’와의 24년에 걸친 알콩달콩한 금실도 다산의 이유였지요. 26년간 동거동락한 전문 사육사의 ... ...
수학캠핑 - ➎ 마술적인 숫자 배열, 마방진
과학동아
l
201310
4차 마방진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멜랑콜리아의 4차 마방진은 댄 브라운의 소설 ‘
로스트
심벌’에 등장한다. 주인공인 하버드대 기호학 교수 로버트 랭던은 피라미드의 암호와 관련해 ‘1514 A.D.’라는 정보를 알아낸다. 처음에는 연도라고 생각했지만, A.D.는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의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04
수 있다. 소설 ‘다빈치 코드(2004)’로 유명세를 탄 작가 댄 브라운의 비교적 최근작 ‘
로스트
심벌(2009)’에도 생각의 힘이 등장한다. 극중 인물 캐서린 솔로몬은 이 힘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노에틱 사이언스(noetic science)’라 부르며 과학의 최전선이라 소개했다. 노에틱 사이언스는 실제로도 있다.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7
모른다.스톰 크라운 메커니즘2009, ⓒDavid Trautrimas데이비드 트라우트리마스는 ‘스파이프
로스트
프로젝트’에서, 고물이 된 가전제품의 부품을 냉전시대의 건축물 사진과 합성해 가상 설비를 만들어 낸다. 그의 작품들은 한결같이 단조로운 회색빛 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폭풍 발생 장치(위)’라는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03
원인이 밝혀졌다.미국 아칸소대 데이비드 스탈 교수팀은 나무나이테를 분석해 ‘
로스트
콜로니’ 이주자들이 1587년~1589년에 그 지역에서 당시 가장 극심한 가뭄을 겪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1998년 4월 ‘사이언스’에 발표됐다.미국 역사에는 1587년 8월 22일 존 화이트라는 정착촌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12
한국영화는 한류의 열풍을 증명하는 듯 했다. 지난 2002년과 2003년에 ‘화산고’와 ‘2009
로스트
메모리즈’가 각각 개막작으로 선정돼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금년에는 ‘가위’, ‘폰’에 이어 세 번째로 초청된 안병기 감독의 ‘분신사바’가 폐막작으로 상영돼 호평을 받았다.600초에 거는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04
못한 채 잠들어 있다는 것은 유쾌한 일이 아니다.사실 ‘스페이스 오딧세이’와 ‘
로스트
인 스페이스’ 등 대부분의 영화에서 등장 인물들이 수면기 안에서 잠들어 있을 때 사고가 발생한다. 그리고 리플리가 잠들어 있을 때 우주선에 침투한 에어리언이 사고를 쳤기 때문에 ‘에어리언 3’가 나올 ... ...
고대 도시 폼페이의 부활
과학동아
l
200009
주로 블록버스터류인데 이름만 들어도 잘 아는 영화가 대부분이다. ‘맨인블랙’ ‘
로스트
인스페이스’ ‘쥬라기공원’ ‘터미네이터2 ‘딥임팩트’ 그리고 ‘타이타닉’과 같은 대작이 예.이들 영화의 특수효과를 연출하는데 고성능 슈퍼컴퓨팅 시스템은 필수다. 만약 슈퍼컴퓨터의 하드웨어와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12
보존된 한 경찰(실베스타 스탤론)이 2032년에 생환해 활약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또 '
로스트
인 스페이스'에서도 새로운 터전을 찾아 냉동상태로 우주여행을 떠나는 가족들이 나온다. 이러한 냉동 인간은 인간의 생명활동을 일시 정지했다가 다시 활동하도록 하는 미래 기술의 전형이다.그런데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