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칼 빌헬름 셸레’가 2년 전에 먼저 발견했어요.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
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에게 산소 발견의 공로가 돌아가게 됐지요.하지만 이들은 새로 발견한 기체를 플로지스톤 이론으로 해석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간 공기’라고 불렀어요. 당시 과학자들은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 크기만 가지고도 암컷과 수컷으로 쉽게 구별을 할 수 있다는
논문
을 발표했어요. 수컷 골판의 면적이 암컷 골판보다 약 45%나 더 크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지요.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골판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크기와 모양이 다른 표본들 모두 성체로 다 자란 ... ...
[과학뉴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업경제학
과학동아
l
201709
IF)는 2015년 기준 4.141로, 농업경제학 부분 83개 저널 중 4위다. ‘오픈액세스’ 저널로,
논문
이 게재된 지 1년 뒤면 아카이브를 통해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다 ... ...
[과학뉴스]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709
800만 년 전 일어난 전체 단백질 게놈 복제 때 이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캐서린 엘리자베스 파거네스 노르웨이 오슬로대 박사는 “붕어는 에탄올을 생산해 거친 환경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어류로, 경쟁을 피하고 같은 수역에 사는 다른 어류에게 잡아먹히지 않을 수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09
말이 ‘박사 졸업을 포기했냐’는 거였다”며 “이미 겪은 선배들은 출산 전에 꼭 박사
논문
을 완성하라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사실 환경정책 공부를 올해 하반기부터는 바로 시작할 계획이었는데,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몰라 미뤘다. “지금은 출산과 육아가 가장 큰 고민이에요. 어떤 엄마가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한 뒷이야기
수학동아
l
201709
문제를 ‘1월 17일에 온라인
논문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올라온 한 대수기하학 관련
논문
에 나오는 보조정리의 특별한 경우’로 볼 수 있지 않을까를 묻는 것이었어요. 저는 대수기하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자세한 뜻은 몰랐지만 브라질에서 우연히 문제 출제자인 존 버만 씨를 만나서 문제가 ... ...
[과학뉴스] 세포벽으로 ‘생체 종이’ 만들어
과학동아
l
201709
연구팀이 사람의 골수 줄기세포를 종이 위에 올려놓았더니, 세포가 4주 동안 증식했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아담 야쿠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및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생체 종이가 생체적합성을 띤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09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인
논문
이었다.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1709
하이드로서 수학적 우주를 연구한다. 그렇게 주류
논문
10편을 발표할 때마다 ‘괴짜
논문
’ 1편을 쓰는 식으로 이중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테그마크 교수가 과연 괴짜이기만 한 걸까? 이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겠지만, 중요한 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는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
수학동아
l
201709
불러요. ‘읽고 쓰기 수열’로 유명한 존 콘웨이라는 수학자는 이런 규칙을 연구해서
논문
을 쓰기도 했고, 닐 슬론이라는 수학자는 이런 수를 모아 수열 사전을 만들기도 했어요. 단순히 재미로 한다고 하지만, 이런 활동이 모두 정수의 성질을 밝히는 활동이니 나름의 새로운 규칙을 찾아보는 것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