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바탕
스페셜
"
한참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그래도 멘델레예프는 101번 원소 멘델레븀(Md)에 자신의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냉전이
한참
이던 시기 미국의 버클리 연구소에서 수많은 새 원소를 발견한 시보그 등 미국 연구진 덕분이었다(1955년). 당시의 메카시 광풍을 뚫은 과학자들의 사해동포주의가 빛을 발한 결과였다. 시보그의 이름은 10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높은 도감을 만든 것이다. 세포 안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세포핵을 발견한 것은 훅보다
한참
뒤인 1831년 로버트 브라운에 의해서였다. 얼마지 않아 얀 에반젤리스타 푸르키네, 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 테오도르 슈반 등에 의해 동물과 식물을 막론하고 생물을 구성하는 기본단위가 세포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음높이(주파수) 사이의 상대적인 간격에 해당하는 음정이 중요하다. 경연 참가자가
한참
노래를 부르다 한 음의 높이를 반 키만 삐끗해도 심사하는 사람들이 얼굴을 찡그리는 이유다. 따라서 노래의 주파수 분해능이 점차 떨어지게 처리를 하면 어느 시점에서 멜로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병이라고 했고, 프랑스에서는 나폴리 병이라고 불렀다.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참
후에야 더 중립적인 ‘시필리스(syphilis)’가 쓰이게 되었다. 매독의 참화를 노래한 시에 나오는 한 등장인물의 이름이다. 그런데 약 100여 년 전 오스트리아 정신과 의사 율리우스 바그너 야우레크는 아주 ... ...
바이러스 유출 의혹 中연구소, 5년전 실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1
뒤늦게 확인됐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난 지
한참
전의 일이긴 하지만 변종 바이러스 실험이 이뤄진 곳이 바이러스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우한 지역의 바이러스연구소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따르면 랄프 바릭 미국 ... ...
[신종코로나 여파] 주말내내 '방콕'…교통사고도 줄었다
연합뉴스
l
2020.02.10
수요 감소를 판단하기 좋은 시점이다. 이달 1일은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확산 속도가
한참
빨라지던 시기였다. 1일 0시 기준 중국 전국 31개 성의 신종 코로나 누적 확진자는 1만1천791명, 사망자는 259명이었다. 국내에선 첫 3차 감염이 확인됐던 시점이었다.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3번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조리된 음식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잘게 썰지 않은 육회를 한번 먹어보자.
한참
을 질겅거려야 겨우 넘길 수 있다. 진화학자 다니엘 리버먼에 의하면 요리 기술의 발달이 얼굴의 성장을 억제하고 있다. 부드러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서 얼굴이 점점 작아지고, 턱도 작아지고, 좁은 곳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예배당 한 구석의 쪽방에 묻혔다. 지금도 이곳에는 갈릴레오 흉상이 벽면에 걸려 있다.
한참
뒤인 1703년에는 제자였던 빈센초 비비아니가 사망한 뒤에 갈릴레오 옆에 묻혔다. 그리고 1737년에 드디어 갈릴레오의 묘가 산타크로체 성당의 본당으로 이장해 제대로 된 무덤 속에 묻혔다. 당시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
2019.11.16
하지만 인류는 아주 기발한 방식의 적응을 선택했다. 옷을 발명한 것이다. 목화나 누에는
한참
뒤에나 발명되었다. 최초의 옷은 다른 짐승의 털이었다. 그렇다면 최초의 옷은 언제 등장했을까? 인류 최초로 옷을 입은 사람은 과연 누구였을까? 발진티푸스 이에 감염되면 피부에 발진이 생기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8.8g으로 꽤 줄었음에도 여전히 “5g보다 적게 먹으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량보다
한참
많다. 짠 음식이 많은 일본도 하루 평균 섭취량이 11g에 이르고 중국은 9.1g이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자들은 지난 2014년 학술지 ‘BMJ 오픈’에 실은 논문에서 세계 21개 지역 187개 나라의 소금 섭취량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