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바탕
스페셜
"
한참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박사학위자임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으로 고용되며, 평균적인 박사학위자의 연봉에
한참
못미치는 수익으로 연구해야 한다. 최근 미국정부는 노동청의 권고에 따라 박사후연구원(포닥)의 연봉 하한선을 대폭 끌어올리는 조치를 단행했다. 왜냐하면 포닥에 대한 이러한 잔인한 대우 때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위해 나무를 심는 식의 농산림은 목재용 조림보다는 낫지만 자연숲에 비해서는 효과가
한참
떨어진다. 3억5000만 헥타르를 전부 농산림 복원으로 할 경우 탄소 70억 톤을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고자들은 각국이 되도록 자연숲으로 복원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가난한 나라의 경우 놓친 기회비용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청소년 참정권이 논의되고, 청소년의 선거연령이
한참
더 내려가야 한다는 논의가 오가는 지금, 우리가 얼마나 과거의 잣대로 세상을 재단하고, 과거의 잣대로 민주주의를 마음대로 단정짓는 일에 능숙한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민주주의는 완벽하거나 영원한 제도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과학기술은 산업화나 산업혁명의 원동력이고 그게 곧 국가발전으로 연결된다. 산업화가
한참
이던 박정희 시절 형성된 우리의 과학기술관이 바로 이것이다. 체화하지 못한 어떤 가공할 무언가를 대하는 우리의 마음은 결과에 대한 조급함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한탕주의이다. 뭔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환멸을 느끼는 현대인에게 위안과 함께 삶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한마디로 시대를
한참
앞선 책이다. 소로는 자연을 단순히 사랑했을 뿐 아니라 세밀하게 관찰해 일기에 기록했다. 특히 식물에 관심이 많아 야생화와 나무의 꽃피는 시기와 잎이 나는 시기를 꼼꼼히 적었다. 소로는 훗날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전형적인 패턴이다.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도 아밀로이드 침착이 생기기 시작하고
한참
뒤에야 증상이 나타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아밀로이드 침착이 생기기 마련인데 그 속도가 빨라 양이 많아진 사람은 발병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백내장인 사람의 수정체 단백질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안토시아닌 색소를 합성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결과임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한참
딸기 얘기를 쓰다 보니 딸기가 듬뿍 올라간 생크림케이크와 진하게 내린 커피 한 잔이 생각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특성이 왜 주기성을 띠는지는 몰랐다.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한참
뒤에 밝혀졌기 때문이다. 1913년 영국의 물리학자 헨리 모즐리는 원소의 정체성이 원자량이 아니라 양성자의 개수에서 온다는 사실을 밝혔다. 양성자의 개수가 원자번호라는 말이다. 모즐리의 제안에 따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있음을 거울 마크 테스트로 입증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어류는 포유류보다 머리가
한참
떨어지는 척추동물로 여겨지고 앞서 버들붕어가 결코 거울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걸 떠올리면 놀라운 결과다. 포유류나 조류가 종에 따라 인지능력이 천차만별이듯 어류도 차이가 크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중학교에 올라가면서부터 이 세상은 오직 1등만 살아남을 수 있으며 2등은 벌써
한참
뒤쳐진 거라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게 들었다. 오랫동안 1등을 향한 열망은 나의 열망이며 1등을 못하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 역시 나의 불안인 줄 알았다. 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것은 부모님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