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열"(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건기구 수장들 "오미크론 변이, 델타보다 감염력 높지만 증상 가벼울 것"동아사이언스 l2021.12.09
- 코로나19 감염을 조기 진단할 PCR(유전자증폭) 검사와 변이의 특성을 밝히는 염기서열 분석을 지속하고, 개인들은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손 씻기, 실내 환기 등 방역 수칙을 준수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이날 AP 통신을 통해 "지금까지 미국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 ...
- [랩큐멘터리]생체 분자로 세상에 없던 슈퍼항체·세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1.12.08
- 활성화하는 이온 채널을 특정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DNA의 염기서열을 3차원 분자로 채널화해 신물질을 합성하거나 인공 세포를 구현하는 게 궁극적인 목표다. 연구실의 이런 연구 역량 덕분에 이같은 연구 과제에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도 지원하고 있다. 인공 세포막과 ... ...
- 호텔 같은 층 만난 적 없고 백신도 맞았는데…"오미크론 변이 공기전파 가능성"동아사이언스 l2021.12.07
- 유전정보가 거의 같았고 염기쌍 1쌍만 달랐다고 밝혔다. A씨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염기서열은 남아공과 보츠와나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변이와 매우 흡사했다. 즉 A씨가 아프리카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돼 B씨에게 옮겼다는 뜻이다. 하지만 CCTV 영상을 검토한 결과 두 사람 모두 호텔에 머무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백신 불평등과 오미크론, 그리고 과학의 희망2021.12.03
- 동반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유일하고도 완벽한 방어전략은, 변이바이러스의 유전체서열만 알면 바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mRNA백신 뿐이다. 현재 백신불평등으로 인해 얼룩져 있지만, mRNA백신 기술 자체는 인류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희망이다. 한 신문의 논설위원은 “오미크론, 공포와 희망”이라는 ...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인된 사실과 아직 모르는 것 동아사이언스 l2021.12.01
- 바이러스 변이 대처 측면에서 우수하다”면서 “불활성화 백신은 완전히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불활성화한 뒤 체내에 주입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본래의 특징 중 일부만 유지해도 체내에서 인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백신 둘러싼 인본주의와 자본주의의 전쟁 2021.11.04
-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RNA 백신은 기존의 사백신이나 생백신과 달리 바이러스의 유전체 서열정보만 있으면 이론상으로는 바로 다음날 백신개발에 착수할 수 있다. 코로나19 mRNA 백신이 코로나19 뿐 아니라, 백신산업 전체의 판도를 바꾼 기술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둘째, ... ...
- "코로나19 바이러스 공통 조상 2019년 10월 첫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1.10.29
- 코로나19 유행 초기 바이러스 변이와 전파 추적을 증명한 첫 정보”라며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분석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13일 국제학술지 ‘헬리온’에 실렸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2021.10.26
- 북부나무두더지의 TRPV1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해 지금까지 알려진 포유류의 서열과 비교해 차이를 살펴봤다. 북북나무두더지의 TRPV1은 S4에서 캡사이신이 달라붙는 자리인 579번째 아미노산이 메티오닌(M579)인 반면, 비교한 포유류 22종은 모두 트레오닌(T)이었다(쥐의 경우 T550). 그 결과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2021.10.21
- LNP의 합성으로 나누어진다. 이론적으로 DNA를 이용한 백신도 가능하지만 결국 핵산 염기서열을 이용해 성공한 기술은 DNA가 아닌 RNA였다. 그리고 이 기술의 개발에는 반세기가 넘는 시간이 걸렸다. 이미지자료 IBS 제공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2021.10.19
- 염색체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유전자의 실체(염기서열)는 1980년대 다른 연구자 세 사람이 밝혔고 이 업적으로 이들은 201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벤저와 코놉카는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per 유전자의 존재가 알려지고 50년이 지났음에도 생체시계 회로의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