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말
파우더
파우
싸라기
싸락이
입자
엿기름가루
스페셜
"
가루
"(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
2014.09.22
사용하는 혼소(co-firing)발전을 한다. 혼소발전에 사용할 바이오매스는 일정한 크기의
가루
로 분쇄해야 한다. 일반 바이오매스는 섬유질 형태를 가지고 있어 분쇄가 매우 어렵지만 반탄화된 목재는 분쇄가 쉬워 발전용 혼소 연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글쓴이] 최돈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장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자리를 충분히 제공했던 것. 이 시스템에 하버-보슈법에 쓰는 보통 철산화물촉매(쇳
가루
)를 넣을 경우 암모니아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하버-보슈법과 또 다른 차이점은 질소와 수소에서 암모니아가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질소와 물에서 만들어진다는 것. 결과적으로 마찬가지 이야기이지만 ... ...
[생활 속의 기술]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KOITA
l
2014.08.08
것을 얼굴에 칠해 진정효과를 줬다. 하지만 납
가루
분과 승홍은 1866년 산화아연으로 만든
가루
분이 탄생할 때까지 오랫동안 사용됐다. 화장품의 차이는 피부 장벽 뚫는 기술의 차이 하지만 현대의 화장품과 고대의 화장품이 단순히 재료가 같다고 해서 같은 화장품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같은 재료를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대부분의 빵은 빵이 아니다! “어떤 수식어도 붙지 않은 빵이라는 단어는 오로지 밀
가루
, 사워도우배양액(발효종) 혹은 맥주나 곡물로 만든 효모, 식수, 소금을 섞은 반죽에서 나온 산출물에만 사용된다.” ... ...
[실험] 미니 정수기 만들기
KISTI
l
2014.01.06
자갈-모래층을 통과한 미세한 오염 물질은 다공성 물질인 숯층을 통과하며 흡착된다. 숯
가루
가 섞인 물은 촘촘한 거름종이를 지나며 다시 깨끗하게 걸러진다. 이 과정을 반복할수록 물은 더욱 깨끗해진다. 정화에 사용된 숯은 대게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고온에서 나무를 가열해 탄화시켜 ... ...
한국의 ‘김장문화’, 인류무형유산 등재!
KISTI
l
2014.01.06
버무리는데, 여기서 우리 조상들은 미생물들을 위한 배려도 빠뜨리지 않았다. 젓갈과 쌀
가루
등을 넣어 김치를 발효시키는 미생물의 먹이가 되게끔 한 것이다. 이 같은 지혜는 타 국가의 저장 식품과는 전혀 다른 김치만의 특징이다. 김치가 지닌 또 하나의 장점은 단백질이나 지방 등 열량을 내는 ... ...
꼭꼭 숨은 우리 몸속 돌 찾기!
KISTI
l
2013.12.10
둘 경우 눈동자에 상처를 내 시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결막결석 예방을 위해서는 눈에
가루
성분의 화장품 사용을 줄이고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촉촉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전문가들은 “특히 건조한 가을과 겨울, 따뜻한 수건으로 2~3분간 눈을 찜질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몸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우리는 알레르기 하면 꽃
가루
를 생각하고 알레르기가 몸에 무해한 물질에 대한 면역계의 오작동이라고 간주해버리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오늘날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상당수는 정말 몸에 해로운 것들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알레르기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이현경 과학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연필심으로 사용되는 평범한 흑연
가루
입니다. 현미경으로 보면 6각형 벌집 모양의 탄소원자가 겹겹이 쌓여있는데 한 겹만 떼어낸 것이 ‘그래핀’입니다. 그래핀은 지금까지 발견된 소재 중 가장 얇으면서도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고 잘 휘어져 ‘꿈의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곡괭이를 들고 안전모를 쓰고 온몸에 시커먼 검댕
가루
를 묻힌 채 땅굴로 향하는 사람.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광부의 인상이다. 어둡고 컴컴한 광산으로 들어가 반짝이는 금도 찾고 누런 구리도 캐낸 이들 덕분에 우리는 편리한 생활을 누린다. 그런데 가까운 미래에는 ‘광부’ 하면 떠오르는 장면이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