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뉴스
"
훗날
"(으)로 총 33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안에 급변할 우주산업...선도 도약 기회 놓지지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이해하는 사람만이 우주항공산업 선점의 기회를 잡을 것"이라며 “지금은 비록 아주 먼
훗날
의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오히려 지금이 블루오션을 선점할 마지막 기회”라고 했다. 박 부사장은 "실제로 3~6년 뒤면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완성과 함께 우주가 더욱 가까워지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Np)이라는 이름까지 붙였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오가와가 발견한 원소는
훗날
75번 레늄(Re)으로 밝혀졌다. 43번은 주기율표 상 레늄 바로 위에 있는 테크네튬(Tc)으로 1937년에야 공식적으로 발견되었다. 대한화학회 제공 한편 오가와가 붙인 Np라는 축약기호는 현재 93번 넵투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흑인을 볼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09
경험이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효율에 영향을 미쳐 인지능력을 변화시킨다는 말이다.
훗날
차이나타운에서 소매치기를 일삼은 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에버하르트는 이들이 ‘다른 인종 효과’를 잘 알고 이용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동양인 중년 여성들을 주된 표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Aspergillus terreus)에서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물질을 찾았다.
훗날
로바스타틴(lovastatin)으로 명명된 이 분자의 구조는 메바스타틴과 거의 똑같았다. 세 번째 탄소에 수소(-H) 대신 메틸기(-CH3)가 붙어있는 것만 다르다. 동물실험 결과 효과가 뛰어났고 부작용이 거의 없어 1980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데 성공했다.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비행은 12초 동안 36m를 날아간 데 불과했지만
훗날
수천㎞의 비행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이번 첫 인공 엽록체 개발은 오늘날 식물과 몇몇 미생물에 국한된 광합성이 새로운 영역으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필자소개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허블은 변광성을 바탕으로 거리를 측정했고, 약 90만 광년 떨어져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훗날
250만 광년으로 밝혀졌다). 이는 우리은하의 크기와 비교했을 때 너무 먼 거리였다. 이 사실은 곧 안드로메다가 성운이 아닌 외부은하라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외부은하의 존재를 밝히며 허블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캠브리지의 생화학 연구소로 박사학위를 받으러 가는 비슷한 시기 홉킨스의 제자이자
훗날
《중국의 과학과 문명》으로 과학사가로 변신하는 조셉 니덤이 같은 연구소에 있었다. 이로운넷, 김우재, 니덤과 과학자의 책-생화학자라는 정체성 참고 http://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5999 -Beinert, H., ... ...
[주말N수학]근과 대칭은 어떤 사이일까
2020.04.18
각자 5차 혹은 그보다 높은 차수의 방정식이 근의 공식을 가질 수 없음을 증명합니다.
훗날
군론에서 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군을 ‘가해군(Solvable group)’, 풀 수 있는 군이라고 부르게 된 것도 이 군들이 방정식을 풀기 위해 처음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놀랍게도 갈루아와 아벨이 처음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표기했다. 라부아지에의 한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그의 원소표에는
훗날
화합물로 밝혀진 물질들도 있었고 빛과 열의 원소에 해당하는 광소와 열소(caloric)도 포함돼 있었다. 열소는 질량이 없는 입자로서 열소의 흡수와 방출로 열 현상을 설명한다. 이처럼 조그만 입자로 모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역사에는 잘못된 이론이 너무나 많다. 지금 우리가 옳다고 믿는 이론들 중에서 몇몇은
훗날
잘못된 이론으로 밝혀질지도 모른다. 잘못된, 또는 틀린 이론이라고 해서 그냥 무시하거나 지나쳐 봐서는 안 된다. 그 역사적 맥락이나 시대적인 한계까지 함께 고려하면 결과로서의 과학이 아니라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