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훗날"(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2020.08.27
- 원형으로 간주된다. 데이호프는 아미노산 염기서열의 한글자 표기법을 개발했고, 훗날 ‘컴퓨터를 이용한 단백질 진화이론’을 만들어, 생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데이호프의 선구자적인 시도들은 현재 생물정보학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표준으로 굳어진 경우가 많은데, 특히 그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2020.08.13
- 레더버그였는데, 그는 당시로서는 아주 드물게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생물학자였고, 훗날 생물학에 컴퓨터와 인공지능을 결합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선 인물이기도 하다. 로스 알라모스 연구소 소속의 수학자 마이클 워터만과 물리학자 템플 스미스가 참여했고,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를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2020.08.06
- 분광기를 개발해 불꽃을 관찰하던 중 그 스펙트럼에서 두 줄의 노란 선을 발견했다. 훗날 이는 나트륨 원소의 고유한 스펙트럼선임이 밝혀졌다. 소금을 불에 태우면 노란 빛을 볼 수 있다. 이를 흔히 나트륨 D선이라 부른다. 노란색 가로등 불빛이 보인다면 십중팔구 나트륨 D선에서 나오는 빛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2020.07.14
- 의 상족(商族)이 바로 동이족의 한 갈래이며, 그들은 까마귀를 조상으로 여겼다. (중략) 훗날 상족이 서쪽으로 이주해 하 왕조에 이어 중국의 두 번째 왕조를 건립했지만 까마귀 숭배의 전통은 여전히 동방에서 성행했다.” 흥미롭게도 고구려인을 비롯해 우리 조상들은 다리가 셋 달린 까마귀인 ... ...
- "10년 안에 급변할 우주산업...선도 도약 기회 놓지지 말아야"동아사이언스 l2020.06.29
- 이해하는 사람만이 우주항공산업 선점의 기회를 잡을 것"이라며 “지금은 비록 아주 먼 훗날의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오히려 지금이 블루오션을 선점할 마지막 기회”라고 했다. 박 부사장은 "실제로 3~6년 뒤면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완성과 함께 우주가 더욱 가까워지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2020.06.11
- Np)이라는 이름까지 붙였으나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오가와가 발견한 원소는 훗날 75번 레늄(Re)으로 밝혀졌다. 43번은 주기율표 상 레늄 바로 위에 있는 테크네튬(Tc)으로 1937년에야 공식적으로 발견되었다. 대한화학회 제공 한편 오가와가 붙인 Np라는 축약기호는 현재 93번 넵투늄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흑인을 볼 때 일어나는 일들2020.06.09
- 경험이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효율에 영향을 미쳐 인지능력을 변화시킨다는 말이다. 훗날 차이나타운에서 소매치기를 일삼은 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에버하르트는 이들이 ‘다른 인종 효과’를 잘 알고 이용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은 동양인 중년 여성들을 주된 표적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2020.06.02
- Aspergillus terreus)에서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물질을 찾았다. 훗날 로바스타틴(lovastatin)으로 명명된 이 분자의 구조는 메바스타틴과 거의 똑같았다. 세 번째 탄소에 수소(-H) 대신 메틸기(-CH3)가 붙어있는 것만 다르다. 동물실험 결과 효과가 뛰어났고 부작용이 거의 없어 1980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2020.05.12
- 데 성공했다.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비행은 12초 동안 36m를 날아간 데 불과했지만 훗날 수천㎞의 비행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이번 첫 인공 엽록체 개발은 오늘날 식물과 몇몇 미생물에 국한된 광합성이 새로운 영역으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필자소개 ...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2020.05.09
- 허블은 변광성을 바탕으로 거리를 측정했고, 약 90만 광년 떨어져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훗날 250만 광년으로 밝혀졌다). 이는 우리은하의 크기와 비교했을 때 너무 먼 거리였다. 이 사실은 곧 안드로메다가 성운이 아닌 외부은하라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외부은하의 존재를 밝히며 허블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