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과정과 눈을 깜박이는 행위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9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눈을 깜박이는 행위는 우리가 깨어 있는 시간의 3~8%를 차지한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의 눈 움직임을 추적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시각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 ...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수 있다. 비인간 영장류를 통해 확인한 이번 실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지난 2일 발표됐다. ■ 포스텍은 김기문·심지훈 화학과 교수, 김준성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그래핀 수준의 전자 이동속도를 갖는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꿈의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위험을 낮추는 뇌혈관계 유전자 변이를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병리학
회보
'에 10일(현지시간) 게재했다. 연구팀은 APOE-e4 유전자가 있지만 치매 증상이 없는 사람들에 주목했다. 이들에게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유전자 변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APOE-e4 유전자를 가진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패턴을 측정하고 머신러닝으로 정서 상태를 읽어내 연구결과를 지난달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생각의 흐름은 무작위적인 것 같지만 대부분 '자신'과 관련됐다. 인간은 정보의 중요성을 판단할 때 본인과 얼마나 관련 있는지(자기 관련도), 본인에게 긍정·부정적인지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상어에 있는 이빨 재생 유전자가 인간에게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습니다. 바로 Sox2 유전자입니다.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년 전 인간과 상어가 공통의 고대 조상을 갖고 있던 이래 쭉 유지돼 왔습니다. 다만 인간은 유치가 ... ...
항균제 안듣는 악성 결핵균도 잡아내는 '약물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죽이는 데 도움이 되는 치료 약물을 개발하고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 약물은 종양의 성장에 필요한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인 '베바시주맙'과 고혈압 환자의 체내 수분량을 줄여 혈압을 낮추는 약물 '로사르탄'을 토대로 ... ...
뒷마당 사는 곤충에게 얻은 '투명 망토'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최대 94%까지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1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전 세계에 널리 사는 곤충 종류인 매미충은 구멍이 난 축구공 모양의 브로코솜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자기 몸을 코팅한다. 브로코솜은 1950년대에 발견됐지만 정확한 기능이 밝혀지지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현대 개미 조상의 멸종을 막고 번성을 도왔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현존하는 개미는 약 1만4000종으로 지구 어디에나 존재한다. 개미는 생태학적으로도 꽃가루를 퍼뜨리는 화분 매개자, 분해자, 포식자, 다른 동물의 먹이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 ...
'원전 사고' 체르노빌서 방사선 영향 안받은 벌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받지 않은 벌레가 발견됐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은 5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체르노빌 지역에서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됐는데도 DNA가 손상되지 않은 선충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1986년 4월 26일 새벽 1시 24분 체르노빌 북서쪽 원자력 발전소에서 시험 도중 ... ...
총소리만큼 큰 소리 내는 손톱만 한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어종이 매우 큰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어항에서 의문의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조사에 들어갔다. 그리고 다니오넬라가 총소리만큼 큰 140데시벨(dB)이 넘는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1m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