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바다 행방 찾았다…행성 덮을 만큼 '지하수'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물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됐다. 물은 사람을 포함한 지구 생명체가 살기 위한 필수 요소다. 화성의 생명체 존재나 인간 거주 가능성 판단에 있어 물의 존재가 중요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화성 극지방 얼음을 ... ...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국내 연구진이 암 억제 단백질 'ATAD5'가 DNA가 손상되더라도 정상적으로 DNA 합성이 재개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DNA.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 ... 예정이다”라고 앞으로의 연구계획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13일 온라인 게재됐다 ... ...
그린란드 빙상, 110만년 전엔 녹색 툰드라였다…"해수면 상승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조사해 이같은 결론을 내린 연구 결과를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270만년 전에 형성된 그린란드 빙상은 오늘날까지 유지돼온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학계에선 이를 뒤집는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2016년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 ...
얼굴 생김새, 이름 따라 변한다...문화적 기대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이름과 얼굴을 일치시킨 연구 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결과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생김새의 유사성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름이 부여하는 사회적 구조화는 매우 강력해 사람의 얼굴 ... ...
자연은 사실 왼손잡이다? 왼손잡이 아미노산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4.07.27
형태가 고정됐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연구결과는 2월 5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됐습니다. (doi: 10.1073/pnas.2315447121) 아미노산은 줄줄이 연결돼 폴리펩타이드를 형성합니다. 폴리펩타이드는 서로 얽히고설켜 단백질이 되죠. 연구팀은 이렇게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형성하는 ... ...
단일세포서 분자 위치 정보 분석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국내 연구팀이 단일세포에서 분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단일세포에서 분자의 위치 정보를 분석할 ... 연구원과 여승은 성균관대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분석 화학
회보
'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지구 대륙, 알려진 것보다 10억년 앞서 형성됐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일찍 시작됐다는 증거를 찾고 연구 결과를 8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판 구조론은 지각의 거대한 판이 맨틀을 떠다니며 지금의 대륙 등을 형성했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약 30억 년 전 지구의 뜨거운 맨틀을 덮은 지각이 굳어질 만큼 지구가 충분히 식은 ... ...
"화성 다녀오면 15년 늙어"…바이오칩 우주에 보내 노화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사실을 확인해 논문을 작성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현재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출판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김 교수는 티슈 칩스 인 스페이스 3차 연구에도 도전할 예정이다. 2020년 김 교수는 NASA로부터 우주방사선이 우주비행사에게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과제도 받아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행동을 조절하는 한 쌍의 호르몬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피를 빤 모기가 인간을 덜 무는 행동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했다. 모기의 장내분비세포(EEC)에 있는 '신경펩타이드F(NPF)'라는 호르몬이 흡혈 행동을 촉진하고 ... ...
생물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형질은 유전자가 표현되는 형태다. 하나 또는 몇 개의 유전자로 결정되는 꽃의 색깔도 있고 동물의 키나 행동처럼 여러 유전자에 복합적 영향을 받는 형질도 있다. 진화의 과정에서 새로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