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195건 검색되었습니다.
- 韓 관측 시스템으로 공전주기 40년 '슈퍼지구' 발견동아사이언스 l2025.04.25
-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정연길 천문연 선임연구원과 이충욱 책임연구원이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외계행성과 그곳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관측 방법이 고안된다. 각 방법은 발견하는 외계행성의 특성이 달라 상호보완적이다. KMTNet은 미시중력렌즈(Microlensing) 현상을 이용해 공전 ... ...
- 160년 만에 밝혀진 ‘멘델 완두콩의 마지막 유전자’동아사이언스 l2025.04.24
- 완두콩의 7가지 형질에 관여하는 모든 유전자 메커니즘을 파악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노암 차윳 JIC 연구원은 “현대의 유전체 분석 기술과 협업 덕분에 멘델의 마지막 유전자 수수께끼를 풀 수 있었다”며 “완두콩 유전체 연구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멘델이 제시한 ... ...
- 면역 감시망 피하는 암세포 사멸 방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5.04.23
-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김도현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연구원(제1저자), 유자형 교수, 양경석 박사(제1저자), 이재모 연구원, 심유정 박사, 박가은 연구원. UNIST 제공. 암세포가 면역 공격을 피할 때 활용하는 단백질을 분해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 ...
- DNA 넘어 RNA 시대…혈액검사, 암과 장기 손상까지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5.04.22
- 디엔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주도하고 전영준 성균관대 교수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관련 연구는 1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의 혈액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희귀 유전자 5000여 개의 발현 패턴을 분석해 암 검출 정확도를 기존 대비 50배 이상 ... ...
- 인간 뇌처럼 중요 정보만 선별…AI 이미지 인식 능력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5.04.22
- 조정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일관성 있게 중요한 특징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논문 제1저자인 권재 독일 막스플랑크 보안 및 정보보호 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사람이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을 빠르게 파악하듯 Lp-컨볼루션은 뇌의 정보 처리 방식에서 착안해 AI가 연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 ...
- 악성 뇌종양 씨앗 '전암 세포' 첫 확인…치료제 개발 추진동아사이언스 l2025.04.21
- 만들고 있다. 논문 작성 당시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논문 제1 저자 김현정 고려대 의대 교수는 “전암 세포는 종양을 더욱 복잡하고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시키는 ‘암 이질성의 씨앗’과 같은 존재”라며“전암세포를 이해하고 표적화하는 것이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 ...
- 50억년전 은하단 충돌, 韓 연구팀이 첫 규명…정설 뒤집었다동아사이언스 l2025.04.21
-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후속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 제1 저자인 김형한 연구원은 "기존 정설과 다른 결과를 발표하는 데 부담이 있었지만 유클리드, 크리즘 우주망원경과 동료 연구자들의 시뮬레이션 자료가 결과를 뒷받침해 큰 용기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초음파로 무선 충전 가능한 생체 삽입형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5.04.20
- 박사후연구원, 이만 모하마디 이마니 고려대 박사후연구원이고 교신저자는 허 선임연구원과 송현철 고려대 교수다. 수중환경 전자기기나 이식형 의료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력 공급은 필수적이다. 문제는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 등에 사용되는 기존의 ... ...
- 하버드대 로봇벌, 각다귀에게 우아한 착륙법 배웠다동아사이언스 l2025.04.17
- 날개 비율이 각다귀와 유사하다는 것도 각다귀를 고른 이유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현낙승 미국 퍼듀대 교수는 "비행체의 성공적인 착륙은 충돌 전 표면에 접근하는 속도를 최소화하고 충돌 후 에너지를 빠르게 소멸시키는 데 달려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연구가 진행될 당시 하버드대 ... ...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동아사이언스 l2025.04.16
-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운형·김근영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의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8일 게재됐다. -DOI: 10.1002/adma.20241912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