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슐린 주사에서 해방될까…중증 1형 당뇨, 줄기세포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않는 상태로 의식 소실이나 발작,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
인 트레머 라이히만 캐나다 토론토대병원 교수는 “환자들은 매일, 매순간 혈당 수치를 걱정하며 살아야 했던 상황”이었다며 “이번 치료는 그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미슬레셀의 ... ...
'밀린 잠' 상환 위해 숙면 유도하는 뇌신경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이상수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박사후연구원이 제1
저자
로 참여했다. 수면이 부족하거나 오래 미뤄지면 '수면 부채'가 쌓이고 부족한 수면을 회복하기 위해 더 깊고 긴 수면이 이뤄진다. 이를 유도하는 신경 메커니즘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 뇌의 ... ...
'네이처', 16일부터 논문에 심사위원 의견서·
저자
답변서 의무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있다. 심사위원 정보는 익명으로 처리된다. 네이처는 "이번 시도를 통해 심사위원과
저자
의 의사소통 과정에 어떤 연구자든 접근하고 의견을 낼 수 있길 바란다"며 "연구논문이 어떻게 작성됐는지 밝힘으로써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AI가 공감 능력도 끌어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경험 비유가 공감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논문 1
저자
인 주효진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통합과정생은 “이번 연구는 AI가 사람들 간 이해와 공감을 돕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며 “앞으로도 실생활에서 사람들 간의 진정한 이해와 공감을 돕는 AI 기술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복잡한 나노 세계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말했다. 제1
저자
인 한기림 IBS 연구원은 "AI-TA는 빛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의해 변질될 수 있는 신소재 물질 및 다양한 화학물질의 동역학을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며 "앞으로 차세대 광전소자, 양자소자 개발 및 ... ...
'1초에 100만번' 효소 반응, 영화 기술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반응 중간 단계가 생성물 방출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는 설명이다. 논문 제1
저자
인 김진균 UNIST 물리학과 연구원은 "영하 113℃에서 영하 93℃ 구간에서만 나타나는 반응 중간 상태를 원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며 "이처럼 빠르게 지나가는 효소 반응의 중간 단계를 구조적으로 포착한 ... ...
폐플라스틱에 햇빛 쬐니 수소 쏟아져…고효율 광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연구의 공동 제1
저자
인 이왕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원 “연구는 실험실의 정제된 조건을 넘어 실제 환경에서도 장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고안정성 광촉매 시스템을 설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 ...
'학술 생태계 키우자' 오픈 액세스 이후 되레 쪼그라든 학술지 수익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무료로 자유롭게 논문에 접근하는 ‘오픈 액세스’ 방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저자
들이 돈을 내는 시스템에서는 논문이 많이 출판될수록 학회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지만 학회에서 받아 출판할 수 있는 논문의 양에 한계가 있다. 오픈 액세스 방식은 기존 구독료 방식 대비 수익이 줄어드는 ... ...
여름철 습기 영향 없이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제1
저자
는 박성민 KIST 차세대태양전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제2
저자
는 윤성원 KIST 차세대태양전지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이다. -https://doi.org/10.1016/j.joule.2025.10192 ... ...
원하는 RNA만 콕 집어 화학변형시키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유지환 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이 연구에 제1
저자
로 참여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Nature Chemical Biology)’에 2일(현지시간) 게재됐다. -DOI: https://doi.org/10.1038/s41589-025-01922-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