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쪽
오른편
바른쪽
바른편
우방
우편
뉴스
"
우측
"(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루함을 버리고 실용을 택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기거하는 방이 있다.
우측
은 며느리들과 딸들이 거주하는 방이다. - 양길식 제공 안채
우측
며느리들이 기거하는 방 뒷채 모습. 사랑채에서 뒷채로 통하는 작은 쪽문이 있어 결혼 후 주로 사랑채에서 머물던 아들이 부모님의 눈을 피해 아내를 만날 수 있었다고 한다. - 양길식 제공 ... ...
"연구현장도 협동조합 개념 도입해 연구안정성 보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 그 역할을 내가 한 것뿐이다.” 전길자 이화여대 교수(
우측
)는 '2013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진흥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이달 20일 서울 중구 세종호텔에서 열렸다. ● “위암 수술만 두 번···요즘은 경력단절여성들 채용해 연구자 복귀” - 행정적인 ... ...
"이중섭 화백의 주도면밀함, 과학으로 밝혀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그린 줄 알았던 그림이 사실은 철저히 계산된 구도로 연출된 작품이었던 것이다. 심지어
우측
하단의 작가 사인도 정해진 자리에 연필로 미리 적어 둔 상태였다. 김 소장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미술품 속살을 낱낱이 살펴보게 된 덕분에 우리가 알지 못했던 유명 작가들의 스케치 습관과 그 ... ...
한반도에 불교를 들인 이차돈의 순교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큰 틀에서 형산강 좌측에서
우측
으로 건너면 천년 고도 경주의 일곽이 된다. 남산지구를 포함하여 5구역으로 나뉘어진 유네스코세계유산인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본향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인데 경주 소금강산(북악)을 지나칠 수 없다. 보물 121호인 굴불사터 사면석불 - ... ...
왕의 아내가 될 운명을 가진 여인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지극히 성대한 장례식을 거행토록 했다. 김유신 장군묘의 진입로를 따라 올라가면
우측
으로 전각들이 보이는데 그중 가장 큰 건물이 숭무전으로 김유신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원래 김유신을 제향한 곳은 금산재(金山齋)이지만 숭무전이 세워진 후 그 기능을 상실했다. 참고문헌 : ... ...
무열왕의 아들 삼국 통일에 실질적 이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곳에서 몇 십 미터 밖에 떨어지지 않았음에도 사람들은 눈길조차 주지도 않는다. 형산강
우측
으로 옮겨져 있었다면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을 것이 분명하지만 위치가 다소 다르게 태어난 것이 잘못이다. 참고문헌 : 『답사여행의길잡이(2) 경주』,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베개, 2001 ... ...
알츠하이머 이젠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정상뇌(왼쪽)와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우측
). 신경세포 파괴로 뇌에 수축이 일어났다. - 미국국립보건원(NIH) 제공 치매를 일으키는 알츠하이머병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조기에 검진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29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따르면 미국 국립보건연구원 ... ...
현대과학이 밝혀낸 선덕여왕의 착각
동아사이언스
l
2013.10.27
아미타여래가 모셔져 있고 좌측에는 감로병을 들고 보관에 화불이 있는 관음보살상,
우측
으로는 보관에 수병(水甁)을 새긴 지장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이 셋을 합해 ‘아미타 삼존(三尊)’이라 한다. 부처가 악귀의 유혹을 물리친 증인으로 지신(地神)을 불러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했다는 내용에서 ... ...
선덕여왕의 총명함을 드러낸 세가지 예언
동아사이언스
l
2013.10.22
축사 건설 등 자연 훼손을 미연에 방지한다고 한다. 부산성을 지나치지 않았다면
우측
에서 빠지지 말고 보아야 할 곳이 있다. 부산성 아래에 위치하는데 멀리서 바라 본 모양이 마치 여자의 음부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은 여근곡이다. 이곳은 선덕여왕의 선견지명과 관련된 설화로 유명하다. ... ...
눈치 없는 사람, 알고보니 뇌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대상으로 사람 얼굴과 일반 사물을 번갈아 바라보게 했다. 그러자 피실험자들 뇌의
우측
방추상회가 사물을 볼 때는 반응하지 않다가 사람 얼굴을 보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 방추상회 영역이 심하게 손상된 사람은 친숙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이 생길 수 있다.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