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우측"(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80년 동안 제사도 봉양도 못 받은 王동아사이언스 l2013.09.03
- 飛龍昇天形)이라 한다. 장릉의 홍살문과 정자각. 언덕 위 중앙상부가 단종 능침, 우측 비각 - 이종호 박사 제공 능역 내에는 홍살문, 정자각, 단종비각, 재실 등 여타 왕릉과 다름없다. 그러나 장릉은 능침공간과 제향공간이 일반 능과 다르게 배치돼 있다. 장유형의 능선 중간에 능침이 있으며 능침 ...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은?동아사이언스 l2013.08.26
- 효종릉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멀리 왕비릉의 뒷모습과 그 너머 정자각의 뒷모습이 우측에 보인다. 이와 같은 것을 북상(北上)이라 하여 부부의 묘, 조상의 묘를 배치할 경우 매우 좋은 묘택으로 인식한다. 반면에 이 위치가 바뀌면 도장(倒葬)이라 하여 매우 좋지 않게 여겼다. 역적이 나면 ... ...
- 최고의 왕에게는 무덤자리도 최고로동아사이언스 l2013.08.05
- 하나가 영릉이다. 풍수지리설에 따라 주산을 뒤로 하고 허리에 봉분을 이룩했으며 좌우측에 청룡ㆍ백호를 이루고 남쪽으로는 멀리 안산인 북성산을 바라보고 있다. 참고문헌 :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인 들것, 지게」, 이종호, 문화재사랑, 2008년 6월 「[王을 만나다·26]영릉 (4대 ... ...
- 조선왕조의 수명을 100년은 늘린 천하의 명당동아사이언스 l2013.08.04
- 가꿔가는 계기로 삼는다. 영녕릉의 훈민문 - 이종호 박사 제공 매표소 입구를 지나면 우측으로 세종대왕의 동상이 있고 좌측으로 세종의 업적을 기념하는 ‘세종전’이 자리한다. 기념관 앞뜰에는 왕실의 과학기구들이 원형의 모습으로 복원되어 있다.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 세계 유일의 ... ...
- 아버지는 사랑했지만, 그 아들에게 홀대받은 여인동아사이언스 l2013.07.29
- 신덕왕후가 갑자기 사망하자 태조는 도성 안에 왕릉 터를 정하는 것은 물론 강씨 봉분 우측에 자신의 봉분인 수릉까지 정하고 수릉의 능호를 정릉으로 정했다. 오늘날은 정릉이 있던 곳이라 정동(貞洞)으로 부른다. 그동안 신덕왕후의 정릉은 막연하게 서울 한복판인 지금의 영국대사관/성공회 ... ...
- 이 시신이 정말 왕의 것이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7.23
- 있다. 재실은 다소 작은 정면 4칸인데 좌측 2칸은 한 칸 씩 마루로 된 준비공간이며 우측 2칸은 한 칸 씩 온돌방인데 한 개의 아궁이로 두 방을 덮힌다. 비공개지역 안내를 맡아 준 이상목 선생이 매년 왕릉 별로 제향행사를 개최하는데 행사에 동원되는 사람이 수백 명이라고 한다. 그런데 제향을 ... ...
- 유난히 수난을 많이 겪은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7.09
- 맛을 보여 장대하면서도 조화가 잘 이루어진 왕릉으로 정평이 있다. 성종 능침에서 우측에 있는 정현왕후는 영원부원군 윤호의 딸로 성종 4년(1473) 궁중에 숙의로 들어왔다가 윤씨가 폐위되자 왕비가 된 운이 정말로 좋은 사람이다. 그녀는 성종으로부터 총애를 받았는데 다음과 같은 성종의 ... ...
- 아버지를 존경해 아버지의 무덤양식까지 따른 아들동아사이언스 l2013.06.26
- 신도비가 2기가 있다. 능 조성 때 세운 좌측의 비석이 임진왜란 때 손상되자 숙종 때 우측의 신도비를 새로 세웠다. 정자각 북서측 소전대는 제례의 마지막 절차인 지방을 불사르는 시설로, 태조 건원릉, 헌릉 등에서만 볼 수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물인데 근래 정릉 신덕왕후 릉에서도 ... ...
- 부자동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6.23
- 비교해 볼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입구로 들어가자마자 정면으로 인릉이 보이지만 우측으로 길을 따라 헌릉부터 알아본다. 참고문헌 :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왕은 허수아비 신세였다」, 이창환, 주간동아, 2011.01.24 「조선왕릉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윤완준, ...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동아사이언스 l2013.06.16
- 좌측 무인석은 팔꿈치에는 구름 문양, 등과 무릎 부분에는 비늘 문양을 새긴 반면, 우측 무인석은 띠가 생략된 가슴의 전면에 걸쳐 파도 문양을 조각했으며, 양어깨에는 귀면(鬼面)을 새기는 등 조각하기 어려운 화강암임에도 조각의 수준이 높다. 또한 석상을 받치고 있는 고석은 많이 퇴화되기는 ... ...
이전67891011 다음